옥천 청석교 ( )

목차
관련 정보
옥천 청석교 전경
옥천 청석교 전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문무왕 연간에 가설한 다리. 석교.
이칭
이칭
청석교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옥천 청석교(沃川 靑石橋)
분류
유적건조물/교통통신/교통/교량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2년 12월 17일 지정)
소재지
충북 옥천군 안내면 장계리 산7-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문무왕 연간에 가설한 다리. 석교.
내용

길이 9.3m, 너비 2.2m, 높이 1.75m. 1982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신라 문무왕 때 만들어진 것으로 전하며, 본래의 위치는 이 다리로부터 조금 떨어진 지금의 경부선 철도 자리였는데 철도공사를 하면서 이곳에 옮겨놓았다.

다리의 구조는 하천 바닥에 넓적한 판석을 깔고 그 위에 1자 정도의 4각 돌기둥을 2개 세워 교각을 만들고 1자 정도의 치석(治石)한 4각돌 귀틀을 걸쳐 댄 위에 9∼10자씩 되는 넓고 긴 판석을 다리 상판으로 걸쳐 대었다.

상판석(床板石)과 상판석 사이는 화강암 장대석을 밑으로 빠지지 않게 짜넣어 완전한 석교의 상판을 만들었다. 옛날 서울을 내왕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다리가 있는 증약리는 조선시대 찰방역(察訪驛)이 있던 곳으로 사람의 내왕이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문화재지』(충청북도, 1982)
『옥천향지(沃川鄕誌()』(관성동호회, 198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인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