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례유설 ()

목차
관련 정보
의례유설
의례유설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신기가 예설에 고금의 이설이 많아 표준을 삼고자 11권 5책으로 편찬한 예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신기가 예설에 고금의 이설이 많아 표준을 삼고자 11권 5책으로 편찬한 예서.
내용

11권 5책. 고활자본. 1792년(정조 16) 간행되었다. 책머리에 신근의 자서와 정범조(丁範祖)의 서문이 있고 책 끝에 한광식(韓光植)의 발문이 있다. 예설에 고금의 이설(異說)이 많으므로 의심나는 내용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는 통례(通禮)로, 사묘(祠廟)·천신(薦新)·체천(遞遷)·종법(宗法), 촌수(寸數)간의 칭호, 관례·혼례·거가잡의(居家雜儀)·제복(制服) 등 41조항, 권3·4는 상례로, 상례 중의 모든 예설과 대복(代服)·추복(追服)·계부복(繼父服)·사우복(師友服)·삼상복제(三殤服制)·동자복제(童子服制) 등에 관한 내용, 권5는 장례(葬禮)로, 특히 제주(題主)·분묘(墳墓)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권6∼9는 제례로, 상중(喪中)·복중(服中)의 제례와 묘제(墓祭)·허장(虛葬)·권장(權葬)·개장(改葬)·산신제(山神祭), 그리고 국장(國葬)·국휼(國恤) 때의 제례에 관한 내용, 권10·11은 궁중 및 군신간의 복제설(服制說)과 서원·향교 행사 때의 의식 및 예절을 포괄하고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