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 ()

경재집
경재집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경재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명언(明彦)
경재(敬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91년(숙종 17)
사망 연도
1779년(정조 3)
본관
전주(全州)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경재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명언(明彦), 호는 경재(敬齋). 세종의 다섯째 아들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후손으로, 이창휘(李昌輝)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풍산홍씨(豊山洪氏)로 이조판서 홍중기(洪重箕)의 딸이다. 처음에는 이건명(李健命)에게 배웠고 26세 때인 1716년 권상하(權尙夏)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효성과 어른을 공경하는 마음이 깊었고, 총명하여 문일지이(聞一知二)의 재주가 있었다고 한다.

1717년(숙종 43) 임금의 행차를 기념하기 위하여 청주에 설장(設場)한 도내별과(道內別科)에 제 4등으로 뽑혔으나 이후 과업(科業)을 단념하고, 『소학』을 탐독하여 학문의 근본으로 삼고 성경(誠敬)과 궁리진성(窮理盡性)에 힘써 학행(學行)을 쌓았다.

이해의 문장은 경사(經史)에 기본을 두어 호한(浩汗)한 기풍을 이루었으니 흔히 당송팔대가의 문장에 비교되기도 하였다. 이해는 사서(四書)를 매우 깊이 연구하였는데, 대개 주자(朱子)보다는 정자(程子)의 입장에서 이해하려고 하였다. 저서로는 『경재집(敬齋集)』 3권 1책이 있다.

참고문헌

『경재집(敬齊集)』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