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1899년에 편찬된 『인동읍지』가 규장각 도서에 있고, 편찬연대 미상의 『인동읍지』가 국립중앙도서관에, 1895년에 편찬된 『인동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책머리에 인동부선생안이 10면 정도 있으며 거주지·부임연월일·해임사유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 다음에 진관(鎭管)·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置沿革)·속현(屬縣)·군명(郡名)·성지(城池)·관직(官職)·산천(山川)·성씨(姓氏)·풍속(風俗)·단묘(壇廟)·공해(公廨)·제언(堤堰)·창고(倉庫)·물산(物産)·교량(橋梁)·역원(驛院)·목장(牧場)·장시(場市)·봉수(烽燧)·누정(樓亭)·학교(學校)·사찰(寺刹)·고적(古蹟)·진보(鎭堡)·명환(名宦)·인물(人物)·효자(孝子)·효부(孝婦)·열부(烈婦)·충용(忠勇)·제영(題詠)·한전(旱田)·수전(水田)·조적(糶糴)·전세(田稅)·대동(大同)·균세(均稅)·봉름(俸廩)·군병(軍兵)·호총(戶摠) 등으로 되어 있다.
학교조에는 오산서원(吳山書院)과 동락서원(東洛書院)의 훼철사실이 기록되어 있고, 조적조에는 좌병영·우수영·원회(元會)·순영(巡營)별로 세부내역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당시 지방재정 상태를 알 수 있다.
특기할 사항은 관직조에 부사, 좌수 1인, 별감 3인, 군관 4인, 지인(知印) 11인, 사령(使令) 13인, 아전 20인, 관노 20인, 관비 15인으로 세분되어 있어 지방행정제도를 짐작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