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백전 ()

고전산문
작품
18세기에 창작된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작품/문학
창작 연도
18세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장백전」은 18세기에 창작된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원나라 말기를 배경으로 조실부모하고 누이인 장 소저와도 헤어져 유리하던 장백이, 병법과 무예를 익힌 뒤 대원수가 되어 주원장의 아내가 된 누이와 상봉하고 이를 계기로 주원장의 명나라 창업을 돕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영웅소설(英雄小說)이다.

정의
18세기에 창작된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서지사항 밎 이본

1권 1책으로 구성된 국문소설(國文小說)로 필사본(筆寫本), 목판본(木版本) · 활자본(活字本) 등 다양한 유형의 판본이 존재한다. 이 가운데 목판본인 경판(京板) 28장본은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활자본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다.

내용

원나라 지정(至正) 말년(末年) 능주 땅에 사는 재상(宰相) 장충은 부인과의 사이에서 나이 50이 되도록 딸 하나만을 둔 채 아들을 낳지 못하자 슬퍼하던 중 벼슬에 뜻이 없어 고향으로 돌아와 농업으로 세월을 보낸다.

그러던 어느 날 금강사 노승(老僧)이 찾아와 퇴락(頹落)한 절의 중수(重修)를 위해 시주(施主)를 청하자, 장충은 황금 100냥을 시주한 뒤 꿈에서 상제(上帝)께 죄를 얻은 천상(天上) 유성이 준 구슬을 받고 아들 장백을 얻는다. 그러나 장충 부부는 장백이 어렸을 때 연이어 세상을 떠나고, 이후 집안의 노복(奴僕)들 또한 뿔뿔이 흩어진다. 이로 인해 장백은 오직 누이인 장 소저에게 의지하여 살게 된다.

장백과 장 소저가 각각 10세와 17세가 되었을 때, 양주 땅의 왕평이 장 소저의 화용월태(花容月態)를 본다. 왕평은 장 소저를 재취(再娶)로 삼으려다가 거절당하자, 장 소저를 납치한다. 이때 장 소저는 왕평을 속이고 도망가 소상강에 투신하는데 다행히 아황과 여영의 명을 받은 여동에게 구제되어 명 태조(太祖)의 황후(皇后)가 될 것이라는 말을 듣고 이후 이 승상의 부인을 만나 이 승상 댁에서 머물게 된다.

한편, 사람들에게 누이가 자결(自決)했다는 말을 들은 장백은 누이를 따라 죽으려다 실패하고 천관도사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어 무예와 병법을 익힌다. 3년 뒤 장백은 나라에 공을 세우기 위해 하산하는데 길에서 우연히 이정이라는 장사(壯士)를 만나 의기투합(意氣投合)한다. 이후 장백은 대원수가 되고 이정은 선봉장(先鋒將)이 되어 여러 고을을 함락시킨다.

매일 동생인 장백과의 재회를 기원하던 장 소저는 꿈에서 대성사로 가면 동생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는 노인의 말을 듣고 대성사에 가 부처님께 공양(供養)을 드리던 중 조선에서 온 주원장과 연분(緣分)을 맺게 되는데 이후 주원장은 유기와 함께 군사를 일으켜 장안(長安)을 공격한다.

한편, 풍악과 주색(酒色)에 빠져 정사(政事)를 돌보지 않던 원나라 황제는 장백의 대군(大軍)이 침입하자 맞서 싸웠으나 결국 패하여 항복한다. 이 틈에 주원장은 장안을 함락하고 국호를 ‘대명’이라 하여 황제의 자리에 오른 후, 이 승상 집에 머물고 있는 장 소저를 데려와 황후로 삼는다.

이때 유문정이 이끄는 백만 대군이 장백의 군사들과 싸우다 대패(大敗)하자, 유기가 구원병(救援兵)을 이끌고 갔지만 또다시 패하자, 명 태조 주원장은 직접 장백을 정벌(征伐)하기로 한다. 이때 장 황후(장 소저)는 우연히 적장(敵將)의 이름이 장백이라는 말을 듣고, 주원장과 함께 가서 그가 동생이 맞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주원장이 연 잔치에 참여한 장백을 본 장 황후는 그가 곧 자기 동생임을 알게 된다. 장백은 천관도사로부터 주원장에게 천명(天命)이 있으며 자기 누이가 명나라의 황후라는 말을 듣고, 원나라 황제의 옥새(玉璽)를 주원장에게 바친다. 명 태조는 장백을 안남왕에 봉한다. 이후 장백은 이부상서(吏部尙書)인 소주철의 딸과 혼인하여 3남 2녀를 낳고 무한한 복록(福祿)을 누린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원말 명초를 배경으로 한 왕조교체형 영웅소설의 하나로 ‘영웅의 일대기’라는 영웅소설의 보편적인 서사 구조(敍事構造)를 취하고 있다. 더불어 이 작품의 제명(題名)은 18세기에 대마도통사를 지낸 일본인 소전기오랑(小田畿五郞, 1754~1831)이 쓴 『상서기문(象胥紀聞)』에 실려 있어 초기 영웅소설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 작품에서 명나라 태조인 주원장은 한족(漢族)이 아닌 조선 출신의 걸인(傑人)으로 설정되었다. 그런데 『상서기문』에는 주원장이 조선인으로 설정된 경상도 웅천 지역의 민간설화(民間說話)가 실려 있어, 본 작품의 서사에 당대 조선에 유포되었던 「주원장 설화」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본 작품은 주인공이자 한족 출신의 귀족인 장백이 천명에 따라 조선 출신인 주원장을 명나라의 황제로 인정하는 결말을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서사에는 화이(華夷)를 떠나 천명이 존재할 수 있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이다. 따라서 본 작품에는 당대 화이관(華夷觀)의 탈피와 더불어 청나라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18세기 후반에 등장한 북학파(北學派) 등의 대청인식(對淸認識)과도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영웅소설이 조선 후기에 변화하는 시대사상(時代思想)을 날카롭게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원전

『장백전』(경판 28장본, 대영박물관 소장)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1)

논문

주수민, 「「장백전」의 형성동인과 주제의식」(『어문연구』 41-2, 한국어문교육연구학회, 201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