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사인정 ( )

목차
관련 정보
장흥 사인정 정면
장흥 사인정 정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김필이 건립한 누정. 정자.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장흥사인정(長興舍人亭)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4년 12월 26일 지정)
소재지
전남 장흥군 장흥읍 진흥로 891 (송암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김필이 건립한 누정. 정자.
내용

1974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장흥읍에서 강진군 쪽으로 가다가 그 접경 못미처에 깎아지른 듯한 거대한 암벽이 있다. 이 암벽을 사인암(舍人巖)이라고 하며, 사인정은 그 암벽 바로 서편 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사인정은 김필(金필)이 의정부(議政府)의 사인(舍人)으로 있을 때 어린 나이로 임금자리에 오른 단종이 숙부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왕위를 빼앗기자 관직을 버리고 고향인 이 곳으로 내려와 은거하기 위한 자리로 설암(雪巖) 아래에 지은 정자이다.

그는 사인이라는 벼슬 이름을 따 정자를 사인정이라 불렀으며, 설암 역시 사인암이라 개칭하였다. 정자의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한가운데에 한 칸 넓이의 방이 꾸며져 있으며, 팔작지붕으로 서향으로 앉아 있다. 사인암의 벽면에는 김필의 영정(影幀)이 음각되어 있으나 크게 마멸되어 그 형체를 찾아보기가 어렵다.

정자 옆에 있는 큰 바위에는 ‘第一江山(제일강산)’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으며, 또한 이곳은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이 김필을 찾아와 10여 년 동안 머물기도 한 곳으로 유명하다. 정자 아래를 흐르는 맑은 물과 사인암의 절벽이 빼어난 승경(勝景)을 이루고 있으므로 봄 · 가을로 이 곳을 찾는 이가 많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