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만서 설화 (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조선 후기의, 풍자적 인물인 정만서에 관한 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정만서 설화」는 조선 후기의 풍자적 인물인 정만서에 관한 설화이다. 조선 후기에는 건달형 인물 설화가 새롭게 등장했는데, 이러한 유형의 설화 속 정만서라는 인물은 언어를 풍자적으로 활용하여 논리를 비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전복적인 상상을 통해 부정적인 상황을 역전시키는 파격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키워드
정의
조선 후기의, 풍자적 인물인 정만서에 관한 설화.
내용

문헌 설화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야기의 유형에 따라 사기담 · 경쟁담 또는 음담패설로 분류될 수도 있으나, 포괄적으로 보아 소화(笑話)나 골계담(滑稽談)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설화는 정만서의 출생지인 경주시 인근 일대에 널리 전승되고 있으며, 이 지역과 교류가 있는 경상북도 남동부 지역 일대에도 다수 전승되고 있다. 『한국구비문학대계』에 80편 가량 채록되었다.

정만서는 경주시 건천면 출생이며 용명2리에 무덤이 있다. 비문에 의하면, 그는 동래 정씨이고 이름은 용서(鄭容瑞), 자는 만서(萬瑞), 호는 춘강(春岡)이다. 1872년(고종 9)에 현릉참봉에 제수되었으며, 1896년 61세로 죽은 후 가선대부(嘉善大夫)의 벼슬을 받았다.

그는 일생을 평민과 더불어 살면서 부자와 관료들의 횡포에 맞서고 풍류와 임기응변의 재치로 생활의 방편을 삼는가 하면, 삶과 죽음 등 근원적인 문제를 자각시켜 주는 일화도 많이 남겼다. 다음은 정만서에 관한 일화이다.

정만서가 곶감을 보고 “이거 국 끓여 먹으면 되지요?”라고 하자 곶감 장사가 “곶감을 어찌 국 끓여 먹나, 그저 먹지.”라고 대답한다. 정만서가 곶감을 실컷 먹자 장사가 돈을 내라고 하는데, 정만서는 곶감 장사에게 “그저 먹으라고 했으면서 왜 돈을 달라하느냐?”라고 대꾸한다.

이러한 말장난은 기생에게 거문고를 사주겠다고 돈을 받은 후 ‘검은 거’라며 시커먼 방앗공이를 건넨 이야기나, 아들 범이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자 어떤 포수가 범을 잡았느냐고 농담한 이야기에서도 볼 수 있다.

하루는 정만서가 대구 서문시장에 나타나서 땅을 치며 종일 울고 있었다. 이상하게 여긴 사람들이 까닭을 물으니 “여기 있는 사람들 다 죽는다! 그것이 슬퍼서 운다.”라고 하는 것이었다. 사람들이 놀라서 연유를 캐어물으니 “여기 늙어서 죽지 않을 사람 누가 있느냐?”라고 하였다. 사람들은 한편으로는 크게 놀라며 모두들 웃고 헤어졌다 한다.

어느 날은 정만서가 객지에서 복막염으로 죽을 고비에 이르자 아들이 그 소식을 듣고 아비를 모시러 왔다. 배가 부어서 아들 등에 등을 대고 업히어 오는데, 이를 본 사람들이 걱정스레 안부를 물으니 “등 따시고 배부른데, 이보다 더 좋은 팔자가 어디 있는가?”라고 하였다. 또한 임종 직전에 친구들이 찾아와서 죽음에 대한 소감을 물었더니 “아직 초죽음이라서 죽어 봐야 알겠다.”라고 대답하였다고 한다.

의의 및 평가

설화의 내용은 상당히 지적인 언변과 단수 높은 기지와 비약적인 논리로 이루어져 있어서, 바로 이해가 되지 않는 것도 있다. 조선 후기 건달형 인물들 중 정만서는 언어의 모호성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거짓말을 한다거나, 전복적인 상상을 통해 부정적 상황을 역전시키는 파격적인 인물이란 특징이 있다.

방학중과 거의 동시대 사람이면서 비슷한 삶을 살았다는 것은 그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인물전설(人物傳說)이 상호 관련성 속에 고찰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 준다. 지배와 억압의 대상에게 어떻게 대항하며 민중적 의지를 실현해 왔는가 하는 문제도 이 설화들을 통해서 다루어질 수 있다. 또한 문학으로서의 골계적 · 풍자적 양식에 대한 논의 뿐만 아니라, 민중적 지성 또는 민중적 영웅의 인물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종래의 서사 문학에서 존재하던 미적 범주나 인물 유형의 성격이 어떻게 계승되고 변용되어 왔는가 하는 논의도 가능하다.

참고문헌

원전

김용철, 『해학소설대전집』 2(노벨문화사, 1971)
조능식, 『정수동과 정만서』(대아출판사, 198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1980∼1988)

논문

신동흔, 「트릭스터 정만서의 말하기 방식과 상상력 발현」(『문학교육학』 57,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La Shure, Charles , 「한국설화에 나타난 트릭스터 연구: 방학중·정만서·김선달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