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운 ()

천명도설 / 정지운
천명도설 / 정지운
유교
인물
조선 전기에, 사단칠정논쟁의 발단이 된 「천명도설」을 저술한 학자.
이칭
정이(靜而)
추만(秋巒)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09년(중종 4)
사망 연도
1561년(명종 16)
본관
경주(慶州)
출생지
고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사단칠정논쟁의 발단이 된 「천명도설」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정이(靜而), 호는 추만(秋巒). 경기도 고양 출신. 정인필(鄭寅弼)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영특했으며, 김정국(金正國)·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나중에 이황(李滉)에게 『심경』·『역학계몽』 등을 배웠다.

생애 및 활동사항

20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23세에 어머니 상을 당해 지극한 효심으로 예를 다하였다. 스승 김정국이 죽은 뒤에도 심상(心喪) 3년을 지냈다. 집이 너무 가난해 끼니를 걸러도 개의치 않았으며, 마음이 바르고 악을 매우 미워하는 성격이었다. 일찍이 벼슬에 천거하는 이가 있었어도 나가지 않고 사양하였다.

「천명도설(天命圖說)」을 지어 조화(造化)의 이(理)를 구명하고, 그 뒤 1553년(명종 8) 이황의 의견을 따라 다시 정정하였다. 먼저 지은 것을 「천명구도(天命舊圖)」라 하고, 뒤에 정정한 것을 「천명신도(天命新圖)」라 해 현재까지 전해 온다. 우리 나라에서 「천명도설」을 시도한 것은 정지운이 처음인 것으로 본다.

물론 권근(權近)의 『입학도설(入學圖說)』과 같은 도상학(圖象學)이 있기는 하나 「천명도설」은 정지운의 독창이라고 할 수 있다. 당시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천명도」가 있다고 그 선후를 논하기도 하나, 정지운의 「천명도설」의 구도(舊圖)는 독창적이어서 최초로 보는 것이 마땅하다. 이것이 뒤에 사칠논쟁(四七論爭)의 발단이 되었다.

1561년(명종 16) 제자인 풍덕군수 안홍(安鴻)의 주선으로 천마산(天磨山)에 유람갔다가 병이 들어, 돌아오는 도중에 승평부(昇平府: 지금의 개풍군 풍덕리)의 강구(江口)에서 죽었다. 대표적인 제자로는 정지림(鄭之霖)·정식(鄭軾)·김은휘(金殷輝) 등이 있다.

고양의 문봉서원(文峰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1640년(인조 18)에 목판본으로 간행된 『천명도설(天命圖說)』이 있다.

참고문헌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천명도설(天命圖說)』
『퇴계집(退溪集)』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