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청풍 금남루 ( )

목차
관련 정보
제천 금남루
제천 금남루
건축
유적
국가유산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에 있는 조선후기 청풍현 관아의 문루.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제천 청풍 금남루(堤川 淸風 錦南樓 )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6년 12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북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 2048 (물태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에 있는 조선후기 청풍현 관아의 문루.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팔장지붕건물. 1976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청풍현 관아의 문루로서 1825년(순조 25)에 청풍부사 조길원(趙吉源)이 창건하여 스스로 도호절제아문(都護節制衙門)이라는 누제(樓題)를 수서(手書)하였으며, 그 뒤 1870년(고종 7)에 청풍부사 이직현(李稷鉉)이 중수하였고 1900년에 부사 현인복(玄仁福)이 보수하였다.

본래의 위치는 제천시 청풍면 읍리로서 청풍초등학교의 교문으로 사용되어오다가 충주댐 공사로 인하여 수몰되게 되자 한벽루(寒碧樓) · 금병헌(錦屛軒) · 응청각(凝淸閣) 등의 관아건물과 함께 원래의 관아건물 배치모습으로 현재의 위치에 이전되었다.

석조팔각 고주석(高柱石) 위에 둥근기둥을 세우고 누대를 만든 겹처마 팔작지붕의 누문이다. 상층부분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이 돌아가면서 설치되어 있다.

현재의 위치는 눈 아래에 남한강의 맑은 물줄기가 흐르고 그 너머에는 단풍나무가 우거진 병풍산이 바라다보이는 곳으로서, 비록 본래의 자리는 아니더라도 옛 정취를 그대로 느끼게 해주고 있음은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다.

참고문헌

『충북의 문화재』(충청북도, 1978)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