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정음문전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정음문전
조선정음문전
언어·문자
문헌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김원우가 품사 · 음학 · 어체 · 격학 · 변체의 5편으로 구성하여 1922년에 간행한 문법서. 국어문법서.
목차
정의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김원우가 품사 · 음학 · 어체 · 격학 · 변체의 5편으로 구성하여 1922년에 간행한 문법서. 국어문법서.
내용

1922년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발행하였다. 체재는 품사(品詞)·음학(音學)·어체(語體)·격학(格學)·변체(變體)의 5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편 ‘품사’에서는 명사·대명사·동사·형용사·부사·관형사·접속사·감탄사·완결사 등 9품사를 세우고 이를 각각 하위 분류하였다. 제2편 ‘음학’에서는 훈민정음의 해석과 초성·중성·종성의 성질과 유별을 논의하였다. 제3편 ‘어체’에서는 주체소속·객체소속·설명체소속으로 나누고 이를 구성하여 도설(圖說)로 나타내었다.

제4편 ‘격학’에서는 명사의 성류(性類)와 관계사의 용처, 접속사의 절(節) 용처, 시(時)·서분(序分)·완결사의 용처, 서분·시들을 서술하였다. 제5편 ‘변체’에서는 각 낱말에 대한 파생 및 합성의 방식과 의미변화의 내용을 기술하였다. 가령 ‘검음’은 형변명(形變名)이요, ‘가기’는 동변명(動變名)이며, ‘모시옷’은 명변형명(名變形名)이라 하는 것 등은 파생 및 합성의 방식이요, ‘돌질’·‘톱질’ 등이 각각 배합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는 것 등은 의미변화의 내용이다.

이 책은 국어학사상 1920년대의 분석주의 체계의 주시경학파(周時經學派)에 속한다.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울―[鳴], 먹―[食], 잡히―, 곱―, 프르―)을 각각 독립된 낱말로 보는 것이나, 접속어미(―나, ―이나, ―면서, ―고)를 접속사로, 종결어미(이다, 다, 오, 냐)를 완결사라 하여 각각 독립된 낱말로 본 것은 주시경의 분석주의 문법체계와 일치한다.

‘음학편’은 주시경의 『국어문전음학(國語文典音學)』과 비슷하고, ‘어체편’의 문장성분의 내용과 구성의 도설 역시 주시경의 국어문법과 비슷하다. ‘변체편’ 또한 주시경의 ‘씨몸바꿈’과 ‘씨뜻바꿈’에 가깝다. 그런데 ‘변체편’의 파생 및 합성에 이른바 자격법어미나 보조동사 등은 포함시킨 것이 특이하다.

참고문헌

『역대한국문법대계(歷代韓國文法大系)』(김민수·고영근·하동호 편, 탑출판사, 1983)
『한국문자급어학사(韓國文字及語學史)』(김윤경, 동국문화사, 1954)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