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이숙(貽叔). 조수린(趙壽獜)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후(趙詡)이고, 아버지는 조국필(趙國弼)이며, 어머니는 광해군의 장인 유자신(柳自新)의 딸이다.
1616년(광해군 8)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는데, 조유선의 나이가 어려 글을 몰라 정심(鄭沁)이 대신 글을 지어주어 과거에 급제하였다고 한다. 1617년 홍문관정자에 처음으로 부임하여 수찬·저작·박사 등 홍문관의 요직을 두루 거친 뒤 1618년 세자시강원겸사서를 지냈다.
1621년 홍문관수찬으로 있으면서 홍문관의 규례를 따라 직접 대면하여 교대하는 절차를 어긴 죄로 파직을 명받았으나 실행되지는 않았다. 1623년 인조가 왕위에 오르자 김주하(金奏夏)·이경익(李慶益)·윤성임(尹聖任) 등과 함께 삼사(三司)에 있으면서 폐모론을 주장하였다고 하여 관직을 삭탈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