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륭

목차
관련 정보
장독 고사
장독 고사
민간신앙
개념
집터나 집을 수호한다는 가신(家神). 장독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집터나 집을 수호한다는 가신(家神). 장독신.
내용

주로 전라남도와 전북특별자치도 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철령 · 철륭할마이 · 뒤꼍각시 등으로 불린다. 전라남도 지역에는 동제당(洞祭堂)에도 철륭당이 있어 마을신으로 섬기기도 한다. ‘철륭’이라는 이름의 가택신은 주로 전라남도 지역에서 섬긴다. 그 밖에 유사한 명칭으로 철용 · 천륭 · 천룡 · 청룡 등이 있는데 이러한 이름으로 전북특별자치도와 충청북도 지역에서도 섬기고 있다.

전라남도 지역에서 철륭의 자리는 집 뒤꼍 또는 장독대 등이며 신체(神體)는 오가리(단지)를 짚주저리로 씌운 형태다. 단지 안에는 쌀과 한지(韓紙), 또는 한지만을 넣은 형태도 있다. 신체가 없는 건궁철륭으로 모시기도 한다.

철륭에 대한 의례는 가정에 따라 다소 다르겠으나 성주 · 조왕 등 다른 주요 가신(家神)과 함께 설날 · 정월 대보름 · 추석 등 주요 명절에 행한다. 그 밖에 자녀가 생기지 않거나 집안에 좋지 않은 일이 있을 때에 의례를 행하기도 한다. 제물로는 밥 · 물 · 떡 · 과일 · 나물 · 술 등을 올린다.

철륭의 신격은 다양하다. 우선 철륭의 자리는 대체로 장독대가 있는 곳이므로 장독신으로 알려져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풍물굿에서는 뒷꼍 장독대에서 하는 굿을 ‘철용굿’이라 하여 ‘철용’을 장독을 관장하는 신으로 보는 것이 보편적이다. 전라남도의 경우는 철륭이 터주신으로 나타난다. 또한 철륭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용어인 ‘천륭’은 장독대로서 터주의 자리 자체를 뜻하기도 한다.

철륭은 장독신 · 터주신의 신격과 함께 산신(山神)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송석리에서 철륭단지는 산을 끼고 있는 집에서 뒤꼍에 모시며 단지 속에 한지만 넣어 둔다. 이는 산신을 위하는 것으로 남신(男神)을 할아버지라 생각하고 명절과 함께 가족의 생일에 음식을 바친다. 철륭의 자리는 집터를 지켜 주는 터신의 자리, 또는 산 밑의 당(堂)이어서 풍수지리와 관련시키기도 한다. 만약 풍수지리와 관련시킨다면 산신으로서의 성격은 한층 확연해지며 철륭과 청룡을 같은 맥락에서 본다면 철륭의 용신으로서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라남도 진도면 사정리에서는 “자식 안 생기고 재해가 있으면 철륭을 모신다.”고 하는데 여기서 삼신의 성격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겠으나 이는 다른 가신의 성격에 비해 대단히 미미하다. 사실상 가신은 저마다 성격이 있지만 다른 가신끼리 성격이 혼합된 경우가 흔하다. 따라서 철륭의 경우도 여러 가신의 성격이 혼재해 있는 것이다.

철륭은 터주신으로서의 성격이 가장 두드러지며 다음으로 장독신의 성격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산신과 용신 등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라남도편·충청북도편-(문화재관리국, 1969·1976)
『한국민속대관』 3-민간신앙·종교편-(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제주도 무속연구』(현용준, 집문당, 1986)
「가신신앙의 성격과 여성상」(김명자, 『여성문제연구』 13집, 효성여대부설 여성문제연구소, 1984)
「업신의 성격과 다른 가택신과의 친연성」(김명자. 『한국민속학보』 7호, 한국민속학회, 1996)
「호남지역 철륭신의 성격」(김명자, 『남도민속학의 진전』, 태학사, 199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