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탑동 오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청주 탑동 오층석탑
청주 탑동 오층석탑
건축
유적
국가유산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에 있는 2층 기단의 5층 석조 불탑. 석탑.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주 탑동 오층석탑(淸州 塔洞 五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6년 12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북 청주시 상당구 탑동로 35 (탑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에 있는 2층 기단의 5층 석조 불탑. 석탑.
내용

높이 3.26m. 1976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탑으로 인하여 탑동이라는 동명이 생겼다. 원래 현위치에서 서쪽 40m 지점에 무너져 있는 것을 이전, 복원한 것이라 한다.

2·3·4·5층의 옥신석(屋身石)과 4층옥개석 및 탑두부가 없어진 것을 복원시에 5층옥개석과 탑정부를 모작(模作)하여 보수하였다. 형태로 보아 지대석 · 하대저석 · 하대중석 · 하대갑석 및 상대중석과 상대갑석을 갖춘 2층기단 위의 5층석탑이었을 것으로 보여, 높이도 6m 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현재 상대갑석 이하는 없다.

상대갑석은 2매석으로 구성되었는데, 높이는 20㎝이고 상면에 가로 180㎝, 세로 181㎝의 방형 부연(副椽 : 탑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과 4분원의 몰딩(moulding : 테두리장식)각형, 1단의 돌기받침으로 탑신을 받고 있다.

그 위의 탑신부는 옥신과 옥개석이 모두 1석씩이고, 초층옥신은 높이 87.5㎝, 너비 95.5㎝에 양쪽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가 새겨져 있는데, 그 너비가 166㎝이며 4면의 면석에 각 1구씩의 좌불상을 양각하였다. 동쪽은 약사여래상, 서쪽은 비로자나불상, 남쪽은 석가여래상, 북쪽은 아미타여래좌상인 듯하다.

각 층 옥개석은 층급받침이 5단식이고 하면에 낙수홈이 음각되었으며, 상면에는 2단의 각형굄으로 그 위의 옥신을 받도록 되어 있는데 낙수면의 경사가 약간 급한 편이며 전각(轉角)의 경쾌한 반전으로 무거운 느낌을 면하고 있다. 탑정부의 노반(露盤) · 복발(覆鉢)과 앙화(仰花) 및 보주(寶珠)는 근래에 보강한 것이다.

참고문헌

『문화재지(文化財誌)』(충청북도, 1982)
집필자
김인제(충청북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