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평 ()

목차
고대사
제도
삼국시대 신라 왕경(王京)의 행정구역.
목차
정의
삼국시대 신라 왕경(王京)의 행정구역.
내용

『양서(梁書)』신라전에는 6세기 전반경 신라의 행정구역을 설명하여, “내읍(內邑)을 탁평이라 하는데 여섯 탁평이 있고, 외읍(外邑)을 읍륵(邑勒)이라 하는데 52읍륵이 있다.”라고 하였다.

『구당서(舊唐書)』·『신당서(新唐書)』·『통전(通典)』에는 탁(啄)을 탁(㖨)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 탁은 신라 왕경을 구성하고 있는 6부(部) 중 탁부(啄部)·사탁부(沙啄部)의 탁(啄)과 동음(同音)이고, 더욱이 그 숫자가 여섯인 데에서 6탁평을 6부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최근 경상북도 울진군봉평(鳳坪)에서 발견된 신라비는 524년(법흥왕 11)에 만든 것인데, 여기에는 ‘신라육부(新羅六部)’라는 명문이 보이고 있어 『양서(梁書)』 신라전의 6탁평이 왕경 6부를 가리키는 것으로 간주하여도 좋을 듯하다. 그러나 6탁평을 왕경 주변에 배치한 군부대, 즉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에 보이는 6기정(畿停)으로 해석하는 설도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양서(梁書)』
「신라육부(新羅六部)와 그 전개(展開)」(武田幸男, 『이우성교수정년퇴직기념논총(李佑成敎授停年退職紀念論叢)』-민족사(民族史)의 전개(展開)와 그 문화(文化) 상(上)-, 1990)
「금석문자료(金石文資料)를 통하여 본 신라(新羅)의 육부(六部)」(이문기, 『역사교육논집(歷史敎育論集)』2, 1981)
「신라중고(新羅中古)의 육부(六部)에 관한 일고찰(一考察)」(이문기, 『역사교육논집(歷史敎育論集)』1, 1980)
「梁書新羅傳考」(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집필자
이기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