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연대도 패총 ( )

선사문화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연곡리에 있는 신석기시대의 조개더미.
유적
건립 시기
신석기시대
길이
동서 약 240m, 남북 약 180m
면적
5,888㎡
소재지
경상남도 통영시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1990년 10월 31일 지정)
소재지
경남 통영시 산양읍 연곡리 24-17번지 외
내용 요약

통영연대도패총(統營烟臺島貝塚)은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연곡리에 있는 신석기시대의 조개더미이다. 15기의 무덤이 모여 있는 매장 시설군으로, 신석기시대에 이미 묘소의 경계를 정한 구역이 따로 있었음을 알려 주는 유적이다. 사람의 뼈와 동물 유존체의 분석이 이루어져 형질인류학 연구와 신석기시대의 생태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정의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연곡리에 있는 신석기시대의 조개더미.
발굴경위 및 결과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연곡리에 있는 연대도에 자리한다. 섬의 북쪽 완만한 대지에 유적이 형성되어 있는데, 범위는 동서 약 240m, 남북 약 180m에 이른다. 1987년 태풍 ‘셀마’ 때 토층이 잘려 나가면서 조개더미가 발견되어 학계에 알려졌다. 1988년부터 1992년까지 국립진주박물관이 4회에 걸쳐 발굴 조사를 하였다. ‘가’ 지구는 발굴 조사만 하였고, 그 서쪽인 ‘나’ 지구는 구덩이 조사만 하였다. 1990년 10월 3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형태와 특징

층위는 크게 4개 층으로 정리할 수 있다. ① 암반 위의 신석기 생활면, ② 큰 자갈과 주1가 출토되는 층, ③ 순 조개껍데기층, ④ 눌러찍기무늬토기가 주로 출토되는 층이다. 조개껍데기층을 기준으로 위, 아래의 두 문화층으로 세분되지만, 두 층 모두 남해안 신석기시대 전기에 해당한다. ‘나’ 지구는 중기 이후에 형성되었다.

‘가’ 지구에서는 15기의 무덤이 조사되었다. 군을 이루고 있으므로 생활 공간과는 구별되는 매장 구역이 정해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무덤은 구덩이를 파고 납작한 돌이나 토기 조각으로 주2을 만들고, 시신을 놓고 작은 돌이나 자갈, 고운 흙, 토기 조각 등으로 덮은 구조이다. 머리를 서쪽에 두고 있는 앙와신전장(仰臥伸展葬: 사람의 뼈가 하늘을 바라보며 몸을 똑바로 편 채로 누운 형태)이 대부분이다.

7호, 11호, 14호 무덤의 주3는 질과 양이 다른 무덤보다 뛰어나다. 사람 뼈의 신장은 1호 167cm, 7호 161cm이다. 외이도골종(外耳道骨腫: 고막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질 때 생기는 병)이 확인되는데, 이는 주4의 영향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인공 유물과 동물 유존체가 고루 출토되었다. ‘가’ 지구에서는 주로 덧무늬토기와 눌러찍기무니토기가 많고, ‘나’ 지구에서는 태선침선문토기와 이후의 토기가 많다. 또한, 도도로키식〔轟式〕을 비롯한 일본 주5의 토기와 주6, Sunukite 같은 석기가 출토되어 규슈〔九州〕 지역과의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7호 무덤의 사람 뼈에서 출토된 발찌는 돌고래, 수달, 너구리의 이빨을 가공하여 만든 것이다. 2호와 14호 무덤에서는 옥으로 만든 팔찌와 장신구도 나왔다. 동물 유존체의 분석이 이루어져 당시의 자연생태계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의의 및 평가

통영연대도패총은 신석기시대의 매장 방식, 특정한 매장 구역의 존재, 형질인류학(形質人類學) 연구 등에서 중요한 성과를 낸 유적이다. 서기전 5256∼서기전 4540년, 서기전 5328∼서기전 4660년의 방사성탄소연대값을 얻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연대도(煙臺島) Ⅰ』(국립진주박물관, 1993)

논문

임학종, 「신석기시대의 무덤」(『한국신석기연구』 제15호, 한국신석기학회, 2007)
주석
주1

그릇의 표면이 약간 돋아 나오게 띠 모양으로 흙을 덧붙여 무늬를 만든 토기. 빗살무늬 토기보다 시기적으로 앞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말샘

주2

주검을 널에 넣지 아니하고 직접 안치하여 두던 밑받침. 몸 전체를 받칠 수 있도록 만든 것과, 머리와 발만을 받치도록 머리고임과 발받침만을 만든 것이 있다.    우리말샘

주3

장사 지낼 때, 시체와 함께 묻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사람이 직접 물속에 깊이 들어가서 어류, 조개류, 해조류를 잡거나 따는 일.    우리말샘

주5

기원전 13000년경부터 기원전 300년경까지 존재한 일본의 선사 시대. 중석기에서 신석기에 이르는 시기로, 일본 역사의 큰 기초를 이룬다. 명칭은 이때의 대표적 유물인 조몬 토기에서 유래하였다.    우리말샘

주6

유문암질(流紋巖質) 또는 안산암질(安山巖質) 따위의 마그마가 급격히 식으면서 굳어져 이루어진 화산암. 회색 또는 검은색을 띠고 유리 광택이 있으며, 조가비 모양의 단구(斷口)를 가진다. 아름다운 것은 장식품의 돌로 쓰고, 비석ㆍ도장ㆍ그릇ㆍ단열재 따위의 재료로 쓴다.    우리말샘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