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집 ()

목차
현대문학
문헌
현대사에서 최재형과 박기원의 시 「무녀」 · 「지도」 · 「허수아비」등을 수록하여 1953년에 간행한 시집.
목차
정의
현대사에서 최재형과 박기원의 시 「무녀」 · 「지도」 · 「허수아비」등을 수록하여 1953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A5판. 86면. 국판. 반양장. 1953년 현대사(現代社)에서 간행하였다. 장정(裝幀) 백영수(白榮洙), 김동리(金東里)의 서문(序文), 조연현(趙演鉉)의 발문(跋文)이 있다.

내용

최재형편에 「무녀(巫女)」·「지도(地圖)」·「밤」·「묵상(默像)」·「한(翰)」 등 12편, 박기원편에 「홰냥년」·「허수아비」·「공간(空間)」·「제문(祭文)」·「이목구비(耳目口鼻)」 등 11편, 모두 23편이 수록되어 있다. 최재형편에 실려 있는 「여름산」·「밤길」 두 작품은 중학 시절의 작품으로, 특히 전자는 1939년도 『조선일보』 신춘현상문예의 당선작이다.

서문에서 김동리는 최재형과 박기원의 문학적 바탕에는 “현대인(現代人)이 치르는 불행(不幸)의 파편(破片)”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러한 “정신적(精神的) 자세(姿勢)”는 “허무주의사상(虛無主義思想)”이라는 말로 요약될 수 있다고 했다.

발문(跋文)에서 조연현은 최재형의 작품 경향에 대해 “그 전부가 이남(以南)으로 내려온 이후의 참담한 기아(飢餓)와 유랑(流浪)과 노역(勞役) 속에서 씌어진 것으로서…참담했던 상황의 비애와 체험이 그 중요한 내용을 이루고 있으며”, “그의 불우(不遇)와 비통(悲痛)이, 그의 발악(發惡)과 통곡(慟哭)이 적절한 시적형상(詩的形象)을 갖우는데 무난히 성해해 있다.”고 평가했다.

박기원의 작품에 대해서는 보들레르(Baudelaire, C.)와 서정주(徐廷柱)의 영향 관계를 언급하고, “악(惡)과 부정(否定)의 세계에서 특이한 미(美)를 발견해 보려는 이 시인의 취미는 분명히 퇴폐적이며 또한 불건전한 것 같기도 하다.”라고 평가했다.

최재형은 「지도」·「군가(軍歌)」 등에서 6·25와 일제 징용의 전쟁 체험과 그 외상을 노래하였다. 박기원은 「홰냥년」·「이목구비」·「구미호(九尾狐)」 등에서 “얕은 가지 끝에 매어달린/독(毒)한 열매가 되고 싶습니다//여름내 비마저 부푸른 사랑/못견디게 징그러운 독소(毒素)를 먹고//온목에 지글 지글 죄약(罪惡)이 배여/한가을 밝○게 가슴이 타면//십리(十里)벌 풍기는 독한 냄새/구렁이도 제바닥에 너부러 지고//까막까치 날러와 앉기만 해도/푸두둑 푸두둑 떨어저 죽고//저성고개 황천물 넘어 가랴면/싫어도 따먹고 죽어야 하는//그러한/열매가 되고 싶습니다”(「열매」)처럼 악마주의적(惡魔主義的) 경향을 보여주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