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금강문 ()

목차
자연지리
지명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 입석리(지금의 해금강리)에 있는 바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 입석리(지금의 해금강리)에 있는 바위.
내용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작은 바위섬으로 2개의 큰 돌기둥에 하나의 바위가 지붕처럼 놓여 있어 마치 바다 위에 있는 대문과 같다.

화강암이 해식작용을 받아 형성된 지형으로 바위 위의 소나무와 어우러진 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부근에는 삼일포·동자바위·얼굴바위·사자바위·서적바위·곰바위 등이 있으며, 1980년 1월 북한 천연기념물로 제 229호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북한천연기념물편람』(한국문화사, 199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