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운동사 ()

목차
근대사
단체
1926년 일본 동경에서 조직된 협동조합운동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26년 일본 동경에서 조직된 협동조합운동단체.
내용

전진한(錢鎭漢)을 중심으로 일본에 있는 유학생들이 1926년 6월 ‘① 중간이윤 철폐, ② 고리대 구축, ③ 경제적 단결, ④ 자주적 훈련’ 등 일제의 식민지 착취를 배제하고 농민의 경제적 권익을 보호, 증진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기본강령으로는 ‘① 우리는 협동자립정신으로써 민중적 산업의 관리와 민중적 교양을 기한다. ② 우리는 이상의 목적을 관철하기 위해 조합정신의 고취와 실지 경제를 기한다.’ 등을 정하였다. 그리고 기관지 『조선경제(朝鮮經濟)』를 발간하는 한편, 방학을 이용해 국내에서 협동조합운동의 취지를 선전, 강연하며 조합의 조직을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1927년 1월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咸昌)에서 첫번째 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 1927년 11월 「협동조합운동의 실제」라는 팸플릿을 제작하여 전국에 배포하며 조직을 확대하는 데 힘을 모았다.

1928년 4월 1일에는 본부를 동경에서 서울로 옮기고, 순회강연을 통해 조합 설립에 더욱 힘을 기울여 충청도와 경상도에 조직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같은 해 11월 현재 조합 22개, 조합원 5, 000명에 자본금 4만 5000원을 보유하였다.

이즈음 공황을 타개하기 위해 식민지 수탈을 강화하는 일제에 대항, 조합의 조직은 더욱 증가하여 함경남도에도 조합이 조직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탄압이 갈수록 심해지면서 전진한 등 조합간부가 검거되고, 또 경영난과 자금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일제가 해산 명령을 내려 결국 1933년경 해체되고 만다.

이 단체는 농민의 궁박한 생활을 극복하고, 농촌의 불황을 타개하려는 농민들의 권익운동일 뿐 아니라, 일제의 식민지 수탈에 대항하는 점에서 항일농민운동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그리고 소작쟁의로 나타난 소작농민운동과는 달리 어느 정도의 경제 기반을 가지고 있는 자작농의 농민운동이었다.

참고문헌

『일제하한국농민운동사』(조동걸, 한길사, 1979)
『조선농민단체사』(문정창, 1942)
『高等警察要史』(慶尙北道警察部, 1934)
집필자
조동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