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발해 5경(京)의 하나인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가 있던 곳이다. 고토성(古土城) · 반랍성자(半拉城子) · 팔뢰성(八磊城) · 팔련성(八連城)이라고도 한다. 성은 훈춘분지의 넓은 들 가운데에 있다. 성 앞으로는 두만강이 흐른다.
성은 방형으로 외성(外城)과 여러 개의 내성(內城)으로 이루어졌다.
외성의 둘레는 약 2,775m 정도이다. 그 중 동벽의 길이 약 739m, 서벽의 길이 약 728m, 남벽의 길이 약 612m, 북벽의 길이 약 696m이다. 벽마다 그 가운데에 문터로 보이는 흔적이 있다.
성 안은 성벽에 의해 다시 몇 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북벽에서 132m 되는 곳에 동서로 북벽과 평행하는 서벽이 있다. 성벽으로 둘러싸인 그 안은 하나의 커다란 구역을 이룬다. 이 곳을 성의 북쪽구역으로 볼 수 있다.
북쪽구역의 남벽 중심부에 잇닿아서 3개의 작은 구역이 남북방향으로 줄지어 있다. 이것은 제1·2·3의 작은 구역이다. 작은 구역마다 남벽에는 문터가 있어 서로 통할 수 있게 되었다. 이 3개의 작은 구역은 이 성의 중심을 이룬다.
중심구역의 좌우에는 네모지게 성벽을 쌓은 동쪽구역과 서쪽구역이 있다. 동서 2구역은 크게 2개의 작은 구역으로 이루어졌다. 그것은 다시 여러 개의 구획으로 나뉘어 있다.
결국, 성은 북쪽구역 · 중심구역(작은 구역 3개) · 동쪽구역(작은 구역 2개) · 서쪽구역(작은 구역 2개)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훈춘현지(渾春縣誌)』에는 이 성 안에 북대성(北大城)과 7개의 작은 성이 있었다고 하였다. 이 8개의 성이 서로 이어져 있었기 때문에 성의 이름을 ‘팔련성’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각 구역에는 여러 개의 집터가 있으며 기와파편들이 널려 있다.
성 안에서는 와당(瓦當) · 녹유와(綠釉瓦), 흑회색 및 붉은색 기와, 문자와(文字瓦) · 철촉(鐵鏃) · 철칼〔鐵刀〕 · 도기(陶器) 등이 발견되었다. 성 밖에는 3개의 절터가 있고 여기서 불상파편들이 발견되었다.
그런데 성 밖에 외성이 있던 것으로 보고 지금까지 언급한 외성을 내성으로, 내성을 궁성으로 보기도 한다. 이 경우 절터는 성 안에 자리잡게 된다.
한편, 2009년에 외성 남문에 대한 발굴 결과, 문도의 구조는 단일통로이며 양측으로 초석이 잔존해 있는 반면 문루나 문테두리 등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이곳의 성벽 절개면을 통해 볼 때 성벽은 판축하였음이 판명되었다. 이로써 팔련성 외성 남문의 축조 방법이 서고성(西古城), 상경성(上京城)과는 다르며 팔련성 외성 남문지를 보호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해주는 점에서 발해도성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