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계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이대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5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이대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5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활자본. 현손 장욱(長郁)이 편집, 1657년(효종 8) 간행하였고, 그 뒤 후손 집형(集馨)이 1822년(순조 22) 중간하였다. 권두에 이이근(李頤根)의 서문, 권말에 송치규(宋穉圭)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고려대학교 도서관·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 102수, 제문 3편, 행적 2편, 서(序)·서(書) 각 1편, 권2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 각 1편, 제문 7편, 만사 2수, 소(疏)·예조회계(禮曹回啓)·치제문·축문·세계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의 「맹추염오기선호로(孟秋念五奇扇好爐)」는 물체마다 모두 태극의 이치를 갖추고 있으므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소중하게 다루어야 하며, 용도에 알맞게 사용하여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지금서당춘첩(知今書堂春帖)」은 봄이 되어 만물이 생동하는 시기에 심령(心靈)을 기르면 인(仁)의 기운이 자연히 나타난다는 뜻을 밝힌 내용이다.

「제박덕구입덕가후(題朴德久入德歌後)」는 『대학』의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은 인간의 생활에서부터 나라를 다스리는 데 이르기까지 모든 방면에 기본이 된다고 설명하면서 그것을 덕목으로 삼아 뜻을 기를 것을 지시한 글이다.

서인 「답정백고서(答丁伯高書)」는 성리(性理)에 관한 견해를 밝힌 것으로, 성(性)만 말하고 기(氣)를 말하지 않으면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전제하고,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네가지는 인성에 고유한 것이므로 본연의 성이 되고, 현우와 청탁은 기질의 차이에 따라 생기는 것이므로 사람마다 같지 않다고 설명하였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