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이길(耳吉), 호는 하려(下廬). 아버지는 황이곤(黃以坤)이며, 어머니는 배천조씨(白川趙氏)로 조경채(趙景采)의 딸이다. 안정복(安鼎福)을 사사하였다.
형 황덕일(黃德壹)과 함께 경전(經傳) 공부를 열심히 하고 제자백가서를 두루 읽어 15, 16세 때 벌써 학예(學藝)로 이름이 높아 친구가 많았다. 이때 어머니로부터 “명리(名利)를 좋아하는 사람과 교유해서는 안된다.”라는 훈계를 받았는데, 그 뒤로는 함부로 친구를 사귀지 않았다.
스승으로부터 위기(爲己)의 학문을 배워 일상생활의 윤리로부터 성명(性命)·이기(理氣)의 근원에 이르기까지 깊이 연구하여 그 요령을 얻었다. 따라서, 황덕길의 학문은 해박하고도 요점을 얻었으며, 간략하고도 충실하여 조화의 근원을 꿰뚫고 사물의 이치를 밝혔다. 거처를 ‘하려(下廬)’라 이름하고 세로(世路)에 인연을 끊은 채 학문 탐구에만 몰두하였다.
저서로 『방언(放言)』·『일용집요(日用輯要)』·『동현학칙(東賢學則)』·『도학원류찬언(道學源流纂言)』과 『속찬언(續纂言)』·『삼자실기(三子實記)』·『사례요의(四禮要儀)』·『가례익(家禮翼)』·『동유예설(東儒禮說)』·『경훈사교록(經訓四敎錄)』·『사서집록(四書輯錄)』·『수사연원록(洙泗淵源錄)』·『도동연원록(道東淵源錄)』·『증보성현군보록(增補聖賢群輔錄)』·『척견록(摭見錄)』·『어류찬(語類纂)』·『초학편(初學編)』·『소대연편(昭代衍編)』·『고사상고(古史詳攷)』 등을 남겼는데, 모두가 천리(天理)를 밝히고 인심(人心)을 바로잡는 내용의 책으로, 옛 성현의 뜻을 계승하여 후세의 학문을 열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