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천혼시 무가 (혼시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함경남도 함흥 지역에 전승되는 서사무가.
이칭
이칭
황천곡
작품/문학
발표 연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황천혼시 무가는 함경남도 함흥 지역에 전승되는 서사무가이다. 손진태가 1926년에 조사한 자료가 유일하다. 저승사자를 후하게 대접하여 목숨을 잇는 연명담으로 제주도의 「맹감본」, 호남 지역의 「장자풀이」와 내용이 같다. 황천혼시 무가는 무속의 죽음관과 사후관, 저승관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목차
정의
함경남도 함흥 지역에 전승되는 서사무가.
개설

황천혼시 무가는 함경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서사무가이다. 1926년 3월에, 함경남도 함흥군 운전면 본궁리에 사는 김쌍돌이(金雙石伊)가 구송한 자료를 손진태(孫晉泰)가 채록하여 『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에 수록한 것이 유일하다. 일명 ‘황천곡(黃泉曲)’, ‘삼 형제의 노래’라고도 한다. 여러 지역의 무가에 동일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어 비교 연구가 가능하다.

줄거리

송님동이, 이동이, 사마동이의 3형제가 7월 7일에 전지(田地)에 나가서 각종 곡식 싹을 얻어 농사를 짓기 시작하였다. 3형제가 밭을 가는데 백골(白骨)이 솟아났다. 3형제는 백골을 모셔다가 지극히 위한 덕으로, 재물이 많이 불었다. 5, 6년 지난 뒤에, 하루는 백골이 눈물을 흘렸다. 3형제가 백골에게 우는 까닭을 묻자 백골은 너희 3형제를 염라대왕이 잡아갈 것이라고 하며 저승사자를 대접하고 빌어 보라고 하였다. 3형제는 검정 황소를 잡아 궁왕산 다리 밑에 가서 음식상을 차리고 저승사자를 기다렸다. 저승사자는 길을 지나다가 음식상을 보고 시장하여 음식을 다 먹고 신발을 신으려 하였다. 이때 3형제가 나타나서 예배를 드리며 살려 달라고 빌었다. 저승사자는 3형제의 이름을 물어본 뒤 누런 황소와 유삼(油衫), 놋동이를 3형제 대신 저승으로 가지고 가서 염라대왕에게 거짓말을 하였다. 그 뒤 3형제는 여든한 살까지 살다가 죽어 혼수성인 제향을 받는 신이 되었다.

의미

황천혼시 무가는 제주도 서사무가인 「맹감본」, 호남 지역의 「장자풀이」와 같은 내용이다. 저승사자를 후하게 대접하여 목숨을 잇는다는 연명담이다. 화천혼시무가는 인간이 죽는 것은 저승사자가 잡아가기 때문이라고 보는 무속의 죽음관을 알려준다. 아울러 저승사자도 인정에는 약하고 염라대왕도 사자들에게 속아 넘어간다는 내용으로 무속의 저승관을 보여준다. 인간은 어떠한 방법을 쓰더라도 오래 사는 것이 제일이라는 현세 중심의 무속적 사고를 반영한 신화이기도 하다. 이와 유사한 내용은 고전소설인 『왕랑반혼전』에도 존재한다. 황천혼시는 아이들이 아플 때 낫게 해달라고 비는 제의에서 구송된다. 그러므로 이야기 속의 3형제는 아이들의 수명을 관장하는 신으로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손진태, 『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東京: 鄕土硏究社, 1930)
진성기, 『남국의 무가』(제주민속연구소, 1960)

단행본

서대석, 『무가문학의 세계』(집문당, 2011)

논문

송미경, 「사령형(使令型) 인물의 형상화 양상 및 전형성」(『구비문학연구』 32, 한국구비문학회, 2011)
이주영, 「代命型 서사무가들의 이본 간 관계 및구조 결정 요인」(『구비문학연구』 31, 한국구비문학회, 2010)
최원오, 「「차사본풀이」 유형 무가의 구조와 의미」(『한국민속학』 29, 한국민속학회,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