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달항아리 (아리)

목차
공예
유물
문화재
조선 후기에 백자로 제작된 달항아리.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05년 08월 12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백자로 제작된 달항아리.
내용

조선 백자의 기본은 순백자(純白磁)에 있다. 순수한 백색 자기를 말하는 순백자는 질에 따라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고려 백자의 계통을 이어 유백색의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백자로 15세기까지 제작되었고, 다른 하나는 중국 원명(元明) 경질 백자의 영향을 받아 만든 희고 단단한 경질 백자로 15세기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현재까지 우리가 사용하는 백자가 바로 이 계통이다.

조선시대 사람들은 아름다운 순백자를 선호하였다. 백자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순백색을 우선적인 기준으로 삼았으며, 이에 따라 순백자는 조선시대 말까지 조선 백자의 중심을 이루었다. 조선 초의 학자 성현(成俔)은『용재총화(慵齋叢話)』에 “백토를 이용하여 자기를 만들었어도 정치하게 번조하여야만 사용할 수 있다. 세종대의 어기(御器)는 오로지 백자를 사용하였다”는 15세기의 정황을 언급하고 있고, 또 『점필재집(佔畢齋集)』에는 김종서(金宗瑞, 1383∼1453)가 경상도 고령을 방문했을 때 밥상 위에 놓인 백자의 색에 심취하여 몇 번씩이나 고령의 백자가 아름답다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 외에도 여러 기록들을 통하여 조선시대 사람들이 순백의 백자를 깊이 사랑하였으며 이를 얻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백자의 색은 품질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우윳빛과 같은 유백색, 눈같이 흰 백색, 회색을 머금은 회백색, 담청이 감도는 백색, 산화되어 적갈색을 띤 백색 등을 볼 수 있다.

특징

이 항아리는 조선 후기 18세기에 제작된 백자 항아리의 전형적인 예이다. 온화한 순백색과 부드러운 곡선, 넉넉하고 꾸밈없는 형태를 고루 갖추었다. 양감이 풍부하면서도 안정감 있으며, 규모는 커도 전체적으로 균형감과 단정한 느낌을 주는 항아리이다. 은은한 광택이 감도는 순백색 유약이 얇게 입혀졌으며, 유면에 잡물과 빙열이 거의 없는 최상품으로 경기도 광주 금사리, 분원리 일대의 관요에서 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도자공예』(강대규·김영원, 솔출판사, 2004)
『조선시대 도자기』(김영원,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백자·분청사기』Ⅱ(김재열, 예경출판사, 2000)
『조선후기 백자 연구』(방병선, 일지사, 2000)
『한국 도자사의 연구』(강경숙, 시공사, 2000)
『한국도자사연구』(윤용이, 문예출판사, 1994)
『한국도자사』(강경숙, 일지사, 1989)
『한국의 미』2 백자(정양모 감수, 중앙일보사, 1985)
『국보』8 분청사기·백자(정양모 편, 예경출판사, 198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