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30은 보물 제1124호이다. 이 문헌은 송나라 화엄학승인 정원(淨源, 10111088)이 80권본 『화엄경(華嚴經)』의 본문을 나누고, 본문 아래에 80권본 『화엄경』에 대한 징관(澄觀, 738839)의 주석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의 해당 부분을 실은 것으로 총 120권의 주석서 중 제 30권에 해당한다.
참고로 주본(周本) 『화엄경』이라고도 하는 80권본 『화엄경』은 당의 측천무후(則天武后)가 국호를 주(周)로 정했을 때 한역한 것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이 주본 『화엄경』은 모두 80권으로 이루어져 있어 80권본 『화엄경』 또는 『팔십화엄경』이라고도 한다. 이 『화엄경』은 418~420년에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359~429)가 번역한 진본(晉本) 『화엄경(華嚴經)』에 이어 새로 번역된 것이다. 이에 대한 주석서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징관의 『대방광불화엄경소』이다.
의천은 송나라 유학 시절 화엄학의 대가인 정원과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 의천은 혜인원에 머무는 동안 정원이 엮은 『대방광불화엄경소』 1질 120권을 정원으로부터 직접 기증받았다. 이에 의천은 귀국 전 정원으로부터 받은 『대방광불화엄경소』 전질(全帙)의 판각을 항저우(杭州)의 각수 엄명(嚴明) 등에게 주문하였다. 1087년(선종 4) 3월 송나라 선상(船商) 서전(徐戩) 등을 통해 모두 2,900여 판에 이르는 목판이 고려에 전달되었다.
1424년(세종 6) 대장경판을 달라는 일본의 끈질긴 요청에 이 목판을 대신 주어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목판들은 일본 교토 쇼코쿠사[相國寺]에 비치되었으나, 후에 화재로 전부 소실되었다. 따라서 이 목판은 불교를 통해 동양 3국이 문화적으로 교류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대방광불화엄경소』 권68은 『대방광불화엄경소』 120권본 전체 목판(木板)을 14세기에 개성(開城)에서 인출(印出)한 것 중에서 권30을 1권 1첩(帖)의 절첩본(折帖本)으로 만든 것이다. 이 책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은 보물 제892호 『대방광불화엄경소』 권2830, 권100102에 포함되어 있는 권30과 동일한 목판에서 인출된 것으로, 보물 제892호는 선장본(線裝本)이다.
『대방광불화엄경소』 권68은 절첩본(折帖本)으로 1권 1첩(帖)으로 이루어져 있다. 판식(版式)은 테두리마다 하나의 검은 선을 돌린 상하단변(上下單邊)이고, 본문은 검은 선이 있는 오사란(烏絲欄)에 20행 15자, 소자쌍행(小字雙行)으로 되어 있다. 장(張)의 크기는 32.3㎝✕53.6㎝이며, 광고(匡高)는 23.5㎝이다.
권말(卷末)의 묵서(墨書)에 ‘정사년 백월산 남백사(丁巳年白月山南白寺)’라 기입되어 있어 책의 발행과 관련된 일부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책을 인쇄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보존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책을 인출한 직후 불복장(佛腹藏)으로 봉안된 것으로 추정된다. 인쇄된 상태로 보아 후쇄본(後刷本)으로 판단되며, 제본 상태로 보아 고려 말기 즉 14세기 경에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른다. 『화엄경』의 중심 사상은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不二]’라는 것이다. 이 경전은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의 불교 사상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대방광불화엄경소』는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중국에 갔을 때 정원(淨源)에게 요청하여 중국에서 판각(板刻)되었다. 1087년 경 고려에 수입된 『화엄경소』 120권 목판(木板)은 「주화엄경판(注華嚴經板)」으로 지칭된다. 1424년(세종 6) 일본이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재조대장경의 목판을 달라고 조선에 요청하였을 때, 세종이 팔만대장경판 대신 이 주화엄경판을 일본 사신에게 주어 돌려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 일본은 해인사에 있는 고려재조대장경판을 일본으로 가져가고 싶어하였으나 유교 국가임에도 불교 유산을 소중히 여겼던 조선은 고려대장경판을 일본으로 유출하지 않았다.
고려시대 중국 송나라에서 판각된 「주화엄경판」은 고려시대에 잘 보존되어 전래되었으며, 조선 세종 때 선린 외교(善隣外交)의 차원에서 일본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이 목판은 한(韓) · 중(中) · 일(日) 삼국이 문화적으로 교류하였던 사례를 보여주며, 당시 삼국의 문화적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