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상 ()

조각
작품
서울특별시 노원구 육군사관학교에 있는 청동으로 주조한 화랑상.
이칭
이칭
화랑기마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노원구 육군사관학교에 있는 청동으로 주조한 화랑상.
구성 및 형식

화강암 지대석 위에 화강암 대좌를 설치하고 그 위에 말을 타고 창을 든 청동 화랑상을 설치하였다. 대좌 전면에는 청동으로 ‘화랑상’이라는 패를 부착하였다. 말의 두 뒷다리는 바닥에 닿아 있고 앞 다리를 높이 들고 있는데 왼 다리는 앞으로 뻗고 오른 다리는 조금 내리고 있어서 도약하는 순간을 표현하였다. 뻗은 다리와는 달리 말의 목은 인물 쪽으로 잔뜩 당겨져 있는데 온몸의 일렁이는 근육과 함께 올라탄 인물의 자세와 힘을 느낄 수 있다. 투구를 쓰고 목이 긴 신을 신고 등자에 발을 끼고 높은 안장에 올라있는 화랑은 왼손으로 고삐를 움켜쥐고 재갈을 당기며 질주하다가 멈추는 순간을 보여준다. 오른손으로는 창을 들어 전면의 아래를 겨누고 있어 말 등에서부터 신체가 조금 왼쪽으로 기울어지게 표현하였다. 말의 앞다리 아래의 빈 공간에는 두 개의 수레바퀴를 표현하고 있어서 말 탄 인물만 표현하는 일반적인 기마상과는 다른 서사적 구조성을 보인다.

내용

이 화랑상은 신라 화랑들의 기개와 나라 사랑을 상징하는 조형물로 육군사관학교에 설치된 최초의 화랑상이다. 원래 16기 졸업생도들이 졸업기념 조형물로서 이 화랑상을 제작하기로 하였는데 사관생도의 경제적 여건상 제작비를 감당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결국, 실물 크기의 동상을 만들기 어려워 작가는 금액을 고려해 애초에 계획한 크기의 1/3 규모로 화랑상을 제작하였다. 당시의 상황에 관해서 ‘16기 화랑동기회’는 “동기회장(박병권)과 건립위원장(김정도)은 동기생으로부터 거출한 예산이 불과 얼마 안 돼 차근호 교수를 찾아가서, 예산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크기로 건립해 줄 것을 당부하여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가격으로 건립했다”라고 전하고 있다. 화랑상은 육군사관학교 내 우당도서관 앞에 위치하였으나 1985년에 이일영에게 의뢰한 새로운 화랑상이 건립됨에 따라 육군박물관 앞으로 옮겨 세웠다.

의의와 평가

이 화랑상은 광복 후 제작된 최초의 기마상으로 이후의 화랑상이 기마형으로 제작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네모난 받침 위에 선 일반적인 동상과는 달리 수레바퀴를 더해 그 앞에 네모난 장애물이 있는 것처럼 표현하였는데 이는 단지 기마 인물상이라는 도상을 따르는데 머물지 않고 상황을 연출한 것으로 작가의 사실적인 사고와 조형예술의 현실감을 구현한 것이다.

참고문헌

『근대문화유산 조각분야 목록화 조사연구』(문화재청, 2011)
「차근호의 1950년대 기념조형물과 순수조각」(김미정, 『학술+비평』창간호, 201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