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체언과 용언의 어간에는 겹받침이 사용된 어휘들이 존재한다. 겹받침이 음절말에 놓이게 되면 하나의 자음만 발음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음절 구조 제약 중의 종성에 대한 제약에 따라 일어난 것이다. 종성에 대한 제약은 두 가지이다.
<종성에 대한 제약>
(1) 종성에 올 수 있는 자음의 수는 1개이다.
(2)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이외의 자음은 종성에 올 수 없다.
종성 제약 (1)에 의하여 겹받침 중의 하나만 남아야 하는데, 어떤 자음이 남고 어떤 자음이 탈락하는지는 겹받침, 즉 자음군의 종류와 방언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인다.
체언의 겹받침(또는 자음군) : ㄳ, ㄺ, ㄼ, ㄽ, ㅄ
용언의 겹받침(또는 자음군) : ㄵ, ㄶ, ㄺ, ㄻ, ㄼ, ㄾ, ㄿ, ㅀ, ㅄ
<자음군단순화 유형>
<용례>
ㄳ: 몫→[목], 넋도→[넉또]
ㄵ, ㄶ: 앉고→[안꼬], 않네→[안네]
ㄻ: 삶지→[삼찌]
ㄼ: 여덟→[여덜], 넓고→[널꼬], 밟고→[밥꼬]
ㄽ, ㄾ, ㅀ: 외곬→[외골], 핥고→[할꼬], 앓네→알네→[알레]
ㄿ: 읊고→[읍꼬]
ㅄ: 값→[갑], 없고→[업꼬]
ㄺ: 맑고→[말꼬], 맑거나→[말꺼나], 맑지→[막찌], 맑다→[막따]
체언의 겹자음 중에서 ‘ㄳ, ㄼ, ㄽ, ㅄ’은 앞 자음이 남고 뒤 자음이 탈락하며, ‘ㄺ’은 반대로 뒤 자음이 남고 앞 자음이 탈락한다.
용언의 겹자음 중에서 ‘ㄵ, ㄶ, ㄾ, ㅀ, ㅄ’은 앞 자음이 남고 뒤 자음이 탈락하며, ‘ㄶ, ㅀ’은 뒤 자음이 축약되기도 한다. ‘ㄻ, ㄿ’은 반대의 경우이고, ‘ㄺ’은 후행 자음이 ‘ㄱ’이면 ‘ㄹ’이 남고 이외의 자음이면 ‘ㄱ’이 남는다. ‘ㄼ’은 주로 ‘ㄹ’이 남으나, ‘밟-’은 뒤에 자음이 오면 ‘ㅂ’이 남는다.
한편, ‘ㄺ, ㄼ’은 전라 방언에서는 뒤 자음을 남기고 앞 자음이 탈락하여 각각 ‘ㄱ, ㅂ’으로 발음하며, 경상 방언에서는 앞 자음을 남기고 뒤 자음을 탈락하여 둘 다 ‘ㄹ’으로만 발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