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승생오름 (오름)

목차
자연지리
지명
제주특별차지도 제주시 해안동에 소재하는 화구호를 지닌 분석구.
목차
정의
제주특별차지도 제주시 해안동에 소재하는 화구호를 지닌 분석구.
명칭 유래

어승생오름은 어스슁이오름 또는 어스싱이오름으로도 불렀으며, 어승생악(御乘生岳)을 비롯하여 어승악(御乘岳), 어승봉(御乘峰) 등으로 표기하였다. 『탐라지』에는 “어승생오름은 제주 남쪽 25리에 있다. 봉우리에는 못이 있는데, 둘레가 백 보나 된다. 예로부터 전하기를 이 오름 아래에서 임금이 타는 말이 났으므로 그런 이름을 붙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내용

어승생오름은 한라산 북쪽 산록 표고 950m 지점의 한라산국립공원 어리목등산로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산정 표고 1,169m의 어승생오름은 비고 350m, 둘레 5,842m, 기저직경 1,968m, 면적 2.54㎢의 단성화산(單成火山: 일회의 분화활동으로 만들어진 소형 화산)으로서, 스트롬볼리식 분화에 의해 형성된 분석구(噴石丘) 또는 스코리아콘(scoria cone)이다.

제주도의 오름 가운데 서귀포시 안덕면 창천리에 소재하는 군산 다음으로 규모가 큰 원추형 화산체이다. 어승생오름은 스코리아 퇴적층의 높은 투수성에도 불구하고 오름 정상에 둘레 250m의 산정 화구호가 발달한다. 그러나 수심이 깊지 않고 함양유역도 크지 않으므로 갈수기에는 바닥이 드러난다.

오름 사면에는 15개의 골짜기가 발달하며, 일부 골짜기에서는 무강수기에도 지속적으로 지표유출이 발생하고 있다. 낙엽활엽수와 침엽수가 혼재하는 삼림지대이나 서어나무와 졸참나무로 대표되는 낙엽활엽수가 탁월하다. 하층은 한라산 전역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제주조릿대가 우점하고 있다.

어승생오름 정상에서는 제주 시가지뿐만 아니라 제주도 서부와 북동부 지역까지 조망할 수 있다. 전략적 요충지로 일찍부터 주목받았던 어승생오름에는 일제강점기에 일본군이 구축한 2개의 벙커와 3개의 동굴진지가 남아 있는데, 진지동굴의 길이는 460m에 달한다. 어리목광장에서 어승생오름 정상까지 편도 1.3㎞, 소요시간 30분 정도 되는 탐방로를 조성하여 체류시간이 짧은 한라산 탐방객을 위한 대체 등산로로 활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일제하 제주도 주둔 일본군 군사유적지 현장 조사 보고서』Ⅰ(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한라일보사, 보고사, 2008)
『제주도 오름 이름의 종합적 연구』(오창명, 제주대학교출판부, 2007)
『제주의 오름』(제주도, 1997)
「제주도 스코리아콘의 유출 특성: 어승생오름 소유역을 사례로」(김태호·안중기, 『한국지형학회지』15, 2008)
집필자
김태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