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학 ()

신기통 / 서문
신기통 / 서문
유교
개념
조선 후기의 기철학자 · 실학자였던 혜강 최한기가 정립한 학문. 유학.
정의
조선 후기의 기철학자 · 실학자였던 혜강 최한기가 정립한 학문. 유학.
개설

혜강 최한기(惠岡 崔漢綺, 1803∼1877)는 생전에 모두 1,000권이 넘은 저술을 남긴 우리나라 역사상 최대의 저술가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저술을 통해서 기존의 성리학과 서학, 그리고 불교를 넘어서는 기학이라는 독특하고도 새로운 사유체계를 정립함으로써 당대의 제반문제를 해결할 처방전을 제시하는 한편, 시공을 초월한 보편학을 정립하려고 하였다. 기학적 사유체계 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 저술로는 30대의 저술인 『신기통(神氣通)』과 『추측록(推測錄)』, 그리고 50대의 저술인 『기학(氣學)』과 『운화측험(運化測驗)』과 『인정(人政)』이 있고, 맨 마지막 저술인 60대 후반의 『승순사무(承順事務)』가 있다.

내용

기학의 학문적 틀은 한마디로 ‘천도(天道)에 바탕을 둔 인도(人道)의 정립과 시행’이라고 일컬을 수 있는데, 이를 천인상행지의(天人常行之宜)라고 부른다. 나중에 『기학』에서는 천인운화(天人運化)로 표현하였다. 천인운화란 ‘인간이 천(天)과 하나의 생명체가 되어서 살아가는 천인일치(天人一致)적인 삶’이다. 천인운화는 기학에서 ‘학문의 근본바탕[根基]과 표준’으로 간주되며, 기학을 ‘천인운화의 기학’으로 부를 만큼 중요시된다.

이러한 ‘천인상행지의’와 ‘천인운화’를 최한기는 유교의 개조(開祖)인 주공(周公)·공자(孔子) 정신의 핵심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그의 기학은 ‘지난 성인(聖人)을 계승하여 앞으로 올 미래의 학자에게 길을 열어주는 계왕성(繼往聖), 개래학(開來學)’을 자임하는 학문이다.

여기서 최한기의 기학적 사유체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피기 위해서는 사대운화(四大運化)와 사등운화(四等運化)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그러나 이보다 먼저 전제되어야 할 것은 기학이 기일원론(氣一元論)에 입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주의 궁극적인 본체를 기로 보며, 이것을 신기(神氣), 운화지기(運化之氣), 대기(大氣) 등으로 부른다. 이들은 천(天)에 대한 기학의 명칭이다. 인간과 만물도 기이다. 이것을 인기(人氣), 만물기(萬物氣)라고 한다. 이들 기(氣) 속에는 그 내재적인 조리·법칙·속성으로서의 이(理)가 들어있다. 그리고 기는 기화(氣化)하는데, 이 기화를 기학에서는 운화(運化)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4대운화란 무엇인가? 위의 천인운화를 포함한 방금운화(方今運化), 활동운화(活動運化), 통민운화(統民運化)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4대운화에 의해서 기학을 다음과 같이 총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학은 방금운화를 신기(神氣)에 의해 견문추측(見聞推測)함으로써 인간의 내면에 품부된 활동운화의 본성을 발현시키는 깨달음으로 천인운화에 도달한 뒤 ‘천인운화의 기준[天人運化之準的]’을 수립코자 한다. 그리고 이 기준에 의거해 통민운화를 시행함으로써 대동일통(大同一統)의 유교적 이상사회를 실현코자 한다.

인식의 대상인 방금운화란 ‘지금여기에서의 운화’라는 의미로 지금 현재 눈앞에서 펼쳐지고 있는 만물기의 조리인 물리(物理), 인기의 발현인 인정(人情), 그리고 운화지기를 가리킨다. 방금운화의 강조는 기존 유교의 복고주의적인 태도를 지양하고 두 발을 디디고 서 있는 ‘지금 여기’를 중시하는 특징을 드러낸다. 이때 기학의 천(天)인 운화지기란 무한공간과 무한시간으로서의 우주(宇宙)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때 방금운화란 운화지기[天]를 구성하는 무수히 많은 우주세포 가운데 하나로서 이 속에는 우주의 온갖 특성과 정보가 고스란히 들어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방금운화에 대한 탐구에 의해서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견문추측법(見聞推測法)에 의거하여 방금운화를 꾸준히 탐구하다가 보면, 천[운화지기]에 대한 객관적이고 검증가능한 정보가 축적될 것이고, 이러한 축적이 오랫동안 지속되다가 보면, 드디어 활동운화하는 대기의 본성을 체인(體認)하게 된다. 체인은 전체완형(全體完形)의 인식이라는 의미이다. 이것을 일컬어 『기학』에서는 ‘견문추측으로 전체대용에 도달[推達於全體大用]하여 대기활동운화의 본성을 보아 얻음[見得大氣活動運化之性]’이라고 한다. 이렇게 하면 이제 인간의 내면에 품부된 활동운화의 본성도 스스로 볼 수 있게 된다. 이것을 일컬어 ‘견득활동운화지성(見得活動運化之性)’이라고 한다. 이는 결국 기학적 깨달음인 견성(見性)을 가리키는 말이 된다. 이 말은 ‘천인운화의 본성을 똑똑히 본다[的覩天人運化之性]’는 말과 동의어로서 곧 천인운화에 도달하였음을 의미한다. 천인운화에 도달하면 ‘천인운화의 기준’에 의거하여 통민운화를 시행함으로써 대동일통의 이상사회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견성으로 천인운화에 도달하여 활동운화의 본성을 발현한 이, 기학적 깨달음에 도달한 이에게는 ‘어두운 곳을 밝히고 막힌 곳을 뚫는 매우 역동적이고 신바람 나는 창의적인 삶’이 전개된다. 왜냐하면, 활동운화에는 생명성[活], 운동성[動], 순환성[運], 변화성[化]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인간의 전범(典範)인 천을 활동운화적 존재로 보게 됨으로써 가장 이상적인 삶을 살아가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4대운화에 의해서 기학은 ‘인식과 실현의 구조’로서 파악된다. 방금운화, 활동운화, 천인운화가 인식에 의한 깨달음의 구조를 형성한다면, 통민운화는 이 깨달음을 정치와 교육에 의해서 사회적으로 확산시키는 사회적 실현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중 사회적 실현의 구조를 기학은 다시 4등운화로 설명한다. 일신운화(一身運化), 교접운화(交接運化), 통민운화, 대기운화(大氣運化)가 그것이다.

일신운화란 수신(修身)의 요체로서, 깨달음으로 얻은 천인운화를 개인의 삶에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교접운화란 제가(齊家)의 요체로서, 이 천인운화를 가족에게 적용하는 것이다. 통민운화란 치국(治國)의 요체로서, 이 천인운화를 국가에 적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대기운화란 평천하(平天下)의 요체로서, 이 천인운화를 국가의 범위를 넘어 천하에 적용하려는 것이다.

여기서 4등운화를 대표하는 것은 대기운화가 아니라, 통민운화이다. 왜냐하면, 기학은 천인운화의 기준을 공유(共有)한 여러 나라가 평화적으로 공존(共存) 할 때, 대동일통의 평천하가 구체화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가의 범위를 넘어선 대동일통은 그것이 구호화·추상화 되어서 공허한 이상(理想)으로만 남을 가능성이 높다.

현황

지금까지 기학연구는 서양 경험론에 바탕을 둔 학문이라는 견해에 머물러있었다. 하지만, 기학은 경험을 중시하는 학문이되, 경험론 철학은 아니라는 점에서 본구성(本具性)을 긍정하면서 깨달음을 추구하는 학문이었다. 즉, 기학이 성립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 서양의 천문학이 지구의 자전과 공전을 밝힌 사실처럼, 기학은 이를 활동운화하는 본성으로 표현하였고, 이 본성을 되찾는 ‘깨달음’을 매우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따라서 천(天)의 재발견이야말로 기학연구의 가장 중요한 기반이라고 하겠다.

또한, 최한기의 저술, 특히 기학을 구성하는 철학저술들은 만년정론(晩年定論)이 없다고 말할 정도로, 초기부터 말년까지 매우 일관된 입장과 논리를 유지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같은 것과 다른 것의 원리가 함께 들어있는 것이 ‘추측으로 얻어진 이치인 추측지리(推測之理)’이다. 기학은 추측지리의 탐구와 축적에 의해서 드디어 대동의 보편자인 ‘같은 것’을 깨달아서 활동운화의 본성을 회복하고, 나아가 ‘다른 것’을 활용하여 문명의 이기(利器)를 발명함으로써 물질적인 풍요로움과 육체적인 안락함을 도모하려고 한다는 측면에서 정신과 육체의 건강함을 동시에 추구하려고 하는 ‘깨달음의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보편성을 중시하는 동양의 전통학문과 특수성을 추구하는 서양과학의 특성을 종합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과학’으로서의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학문이라고 하겠다.

참고문헌

『기학(氣學)』
『인정(人政)』
『기측체의(氣測體儀)』
『운화측험(運化測驗)』
『승순사무(承順事務)』
『최한기의 학문과 사상 연구』(권오영, 집문당, 1999)
「최한기 기학의 연구」(손병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