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는 봉약(封若), 호는 초당(草堂)이며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예종·인종 연간에 활동한 문인으로 인종 때 급제하여 한림학사·문하시사(門下侍史)를 지냈다.
작품은 『동문선』에 시 3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5언율시 〈비오는 밤에 회포가 일어(雨夜有懷)〉 〈동도회고(東都懷古)〉 〈징현국사의 영당에서(澄賢國師影堂)〉이다. 『파한집』에는 경기도 고양의 소화사(小華寺) 남쪽 누각 벽에 그가 쓴 시의 2구가 전한다.
인빈은 고려의 시화집에서 빠짐없이 거론되고 있어 당시의 주요 문사였음을 알 수 있다. 이인로는 『파한집』에서, 시 〈비오는 밤에 회포가 일어〉로 인빈의 명성이 해동에 떨쳤다고 하였다. 이 시에 대해 서거정은 『동인시화』에서, 이태백과 소동파의 시에 못지않게 즉경을 잘 묘사하였다고 칭송하였다. 최자의 『보한집』에도 고려를 빛낸 대표적 문인 중에 들어 있으며, 이제현의 『역옹패설』에서는 중화(中華)의 풍도를 지닌 현사명신(賢士名臣) 중에 포함시켰다.
인빈은 교동 인씨(喬桐印氏)의 실제 관조(貫祖)이다. 교동 인씨는 시조 진(晉)나라 풍익대부(馮翊大夫) 인서(印瑞)가 신라에 와서 살게 된 이후 33세 인빈이 교수부원군(喬樹府院君: 교수는 강화도 교동)에 봉해짐으로써 본관을 교동(喬桐)으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
경기도 고양 남쪽 호숫가에 초당을 짓고 살았으며 경상북도 상주에서 별세하여 이곳에 묘가 있다. 1891년(고종 28)에 정의묵(鄭宜默)이 쓴 인빈의 묘갈명이 있고, 1996년에 상주에 신도비가 세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