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치는 뼈 (치는 뼈)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개념
고대 사회에서 점복에 사용한 동물의 견갑골. 점뼈 · 복골.
이칭
이칭
점뼈, 복골(卜骨), 갑골(甲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점치는 뼈[卜骨]는 동아시아 고대 사회에서 미래의 길흉을 판단하는 데 사용하였던 도구이다. 한반도에서는 서기전 2세기에서 서기후 4세기에 유행하였는데, 그 재료는 사슴과 멧돼지의 좌우견갑골이 주로 사용되었고, 일부 지역에서는 소의 견갑골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견갑골 중간의 얇은 부위에 직접 불로 지지거나 뒷면의 골척을 제거하고 골면을 얇게 다듬은 다음 원형 홈[鑽]을 만들고 그 안에 불로 지져 복조(卜兆)를 만들기도 하였다.

목차
정의
고대 사회에서 점복에 사용한 동물의 견갑골. 점뼈 · 복골.
개설

동아시아 고대 사회에서 갑골(甲骨)을 이용해 미래의 길흉(吉凶)을 판단하는 점복(占卜)이 성행하였다. 갑골은 크게 동물의 좌우견갑골을 이용한 복골(卜骨)과 거북의 배와 등의 껍질을 이용한 복갑(卜甲)으로 나뉜다.

신석기시대 후기 중국 북방에서 복골이 처음 출현해 점차 중원 지역으로 확대되었고, 상초기 하남 정주(鄭州) 지역에서 복갑이 처음 출현해 상주(商周) 시기에 갑골점복이 크게 성행하였다. 중원 지역에서는 서주 중기 이후에 갑골점복이 급격히 쇄락하지만 중국 북방에서 유행하던 복골이 철기시대에 한반도로 유입되어 성행하고, 다시 일본에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복골의 재료는 소, 돼지, 양, 사슴 등의 견갑골을 사용하였다. 견갑골은 초기에는 그대로 사용하였지만 점차 뒷면의 골척(骨脊)을 제거하고 골면을 얇게 다듬었다. 초기에는 견갑골 중간의 얇은 부위에 직접 불로 지져[灼] 복조(卜兆)를 만드는 방식이 사용되다가 점차 원형 홈[鑽]과 그 옆에 타원형 홈[鑿]을 만들어 점복의 결과를 인위적으로 제어하였는데,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에서는 타원형 홈은 보이지 않는다.

한편, 『삼국지』 「동이열전」에 부여에서 소의 발굽을 이용해 길흉을 점쳤다거나 『 삼국유사』의 내용을 인용해 가야에서 거북점을 쳤다고 하지만 이들 전래 문헌의 기록은 모두 갑골을 이용해 길흉을 점치는 방식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한반도에서 발견된 가장 이른 시기의 복골은 함경북도 무산 호곡동에서 출토된 것으로, 청동기시대 하가점(夏家店)문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의 복골은 대부분 서기전 2세기에서 서기후 4세기에 속하는 내륙과 해안의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한반도 남부인 광주 신창동, 사천 늑도, 해남 군곡리, 부산 낙민동, 김해 봉황동, 창원 남산, 경산 임당 등에서 출토된 복골은 사슴과 멧돼지의 견갑골 위주이고, 서울 풍납토성, 부산 낙민동, 통영 연대도에서는 소의 견갑골을 이용한 복골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朴載福, 『先秦卜法硏究』(上海古籍出版社, 2011)

논문

이수연, 「영남지역 철기시대 골각기 연구」(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박재복, 「중국 甲骨의 起源에 관한 고찰」(『고고학탐구』 11, 고고학탐구회, 2012)
박재복, 「김해 회현리패총 복골의 형태적 특징 고찰」(『김해회현리패총: 패총전시장 건립을 위한 발굴보고서』, 삼강문화재연구원, 2009)
은화수, 「한국 출토 복골에 대한 고찰」(『호남고고학보』 10, 호남고고학회, 1999)
이형구, 「갑골문화의 기원과 한국의 갑골문화」(『정신문화연구』 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