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 심우사 삼장보살탱 ( )

목차
관련 정보
거창 심우사 삼장보살탱
거창 심우사 삼장보살탱
회화
작품
문화재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의 심우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삼장보살탱화.
시도문화재자료
연계번호
3413803180000
지정기관
경상남도
명칭
거창 심우사 삼장보살탱
원어
居昌 尋牛寺 三藏菩薩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보살도
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제318호
지정일
2002년 08월 14일
소재지
경남 거창군 거창읍 하동4길 77 (대동리)
경도
127.9147274
위도
35.689574
웹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3413803180000
해제여부
N
목차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의 심우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삼장보살탱화.
내용

삼장보살탱은 중앙의 천장보살을 중심으로 지지보살과 지장보살, 그리고 그 권속을 그린 불화로 각기 천상(上界)·지상(陰部)·지하(幽冥界)의 교주를 의미한다. 심우사에 소장된 삼장보살탱은 화면의 상부에 세 보살을 그리고 하부에는 불교의 호법신중인 위태천을 중심으로 하여 8명의 무장한 신장상을 화면에 꽉 차게 표현하였는데, 이처럼 삼장보살과 신중을 상하로 결합한 구성은 다른 삼장보살탱들과는 다른 독특한 점이다. 중앙의 천장보살은 양손을 어깨높이로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으며, 지지보살은 양손으로 연봉우리 가지를 들었고, 지장보살은 왼손에는 보주를 들고 오른손을 들어 엄지와 중지를 결하고 있다. 화기에 따르면 이 그림은 조선 말기인 1881년(고종 18)에 제작되었으며, 관허 의관을 수화승으로 하여 수룡 기전 등 여러 명의 화승이 함께 제작하였다.

참고문헌

『불화,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김정희, 돌베개, 2009)
집필자
최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