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법계사 신중도 ( )

목차
회화
작품
국가유산
경기도 안성시 명륜동의 법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신중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안성법계사신중도(安城法界寺神衆圖)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문화유산자료(2004년 11월 27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안성시 명륜동 158-3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안성시 명륜동의 법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신중도.
내용

신중탱화는 조선시대 이후 사찰의 주요 전각에서 빠지지 않고 봉안되어 왔던 대표적 불화이다. 이 신중도의 화기에 따르면 원래는 안성의 청룡사 관음전에 봉안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는데, 현재는 법계사에 모셔져 있다. 정사각형에 가까운 화면의 상부에는 제석과 범천, 일궁·월궁천자, 천동·천녀를 비롯한 천부의 존격들을 배치하였다. 그 아래에는 동진보살이라고도 불리는 위태천을 중앙에 크게 배치하고 그 주변에 천룡팔부의 무장한 신장들을 배치하였다. 위태천은 새 날개 모양의 장식이 양쪽으로 달린 투구를 쓰고 무기를 팔에 올린 채 합장한 모습인데, 뒤에 펄럭이며 날리는 천의 자락이 마치 화염 광배와 같이 표현되어 시선을 집중시킨다. 붉은색을 주조색으로 하고 녹청, 금 등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서울과 경기 지역 불화의 화려하고 섬세한 기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신중탱화의 연구(Ⅰ)」(김정희, 『한국의 불화』4,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