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무미사일 (Missile)

국방
물품
북한 및 주변국의 위협에 대한 전략적 대응 수단으로 대한민국이 운용 또는 개발 중인 현무 계열의 탄도 및 순항 미사일.
이칭
이칭
현무유도탄
물품
용도
지상 전략표적 타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현무미사일은 북한 및 주변국의 위협에 대한 전략적 대응 수단으로 대한민국이 운용 또는 개발 중인 현무 계열의 탄도 및 순항 미사일이다. 1980년대 중반, 국내 개발된 현무-Ⅰ을 비롯하여 대한민국이 운용 또는 개발 중인 현무 계열의 탄도 및 순항 미사일에 대한 총칭이다. 현무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지상 표적을 공격할 수 있는 북한 및 주변국 위협에 대한 전략적 대응 수단이다.

정의
북한 및 주변국의 위협에 대한 전략적 대응 수단으로 대한민국이 운용 또는 개발 중인 현무 계열의 탄도 및 순항 미사일.
연원

1983년, 아웅 산(Aung 주1 테러 사건이 발생하자 전두환 정부는 이에 대해 북한에 보복하기 위해 1978년에 시험 발사에 성공한 주2 180㎞인 백곰의 후속 사업을 재개하였다. 이렇게 시작된 미사일이 ‘북방을 수호한다.’라는 의미의 ‘현무(玄武)’이다.

북한 및 주변국의 위협 증가에 따라 다양한 현무미사일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1979년에 체결한 한미 미사일 양해각서(후에 ‘한미 미사일 지침’으로 변경)가 2021년에 완전히 해제되기 전까지는 이 각서로 심각한 개발 제한을 받아왔다.

변천 및 현황

국내에서 개발되어 대한민국 최초로 실전 배치된 현무-Ⅰ은 1980년대 중반 이후 운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주변국의 위협 증가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미사일 개발로 진화되었다.

1999년, 현무-Ⅰ의 사거리를 300㎞로 늘린 탄도 주3이 시험 발사에 성공하였다. 2012년,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에 따라 개발할 수 있는 탄도 미사일 주4 중량과 최대 사거리가 각각 500㎏과 800㎞로 늘어났다. 2017년, 탄두 중량 해제에 이어 2021년 5월에는 사거리를 포함한 모든 제한이 완전히 해제되었다.

이러한 ‘한미 미사일지침’ 개정에 맞추어 2015년과 2017년에 각각 사거리 500㎞ 및 800㎞급 주5 탄도 미사일을 시험 발사하였다. 이어서 다양한 발사 플랫폼에서 지상 표적을 공격할 수 있는 후속 미사일들을 개발하였다.

형태와 특징

현무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지상 표적을 공격할 수 있는 현무 계열의 탄도 및 순항 주6에 대한 총칭으로 북한 및 주변국의 위협에 대한 전략적 대응 수단이다.

현무-Ⅰ(퇴역), Ⅱ · Ⅳ 및 Ⅴ는 탄도 미사일이고 현무-Ⅲ는 순항 미사일이다. 또한, 현무-Ⅱ와 Ⅴ는 지대지 미사일이지만 현무-Ⅳ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발사된다. 즉, 현무-Ⅳ-1과 현무-Ⅳ-2는 각각 지대지 및 함대함(艦對艦) 미사일이며, 현무-Ⅳ-4는 잠수함(潛水艦) 발사 탄도 주7)에 속한다.

현무-Ⅲ는 지상, 함정, 잠수함에서 발사하여 지상 목표를 공격할 수 있는 다양한 중 · 장거리 순항 미사일로 구성된다. 개발 중인 현무-Ⅴ는 핵무기에 버금가는 고위력 탄도 미사일로 주8과 개발 일정이 공개되어 있지 않다. 북한 핵 · 미사일 위협에 대응해 지하시설과 지휘부를 초토화할 수 있는 고위력 초중량 탄두를 탑재한 괴물 미사일로 알려져 있다.

의의 및 평가

다양한 현무미사일의 개발과 운용은 전략적 유연성과 강력한 주9을 제공한다. 미사일 다변화 및 고도화로 국방력 강화뿐만 아니라 주10 수출을 통한 국익 창출이 기대된다.

참고문헌

기타 자료

‘한국의 무기 이야기, 〈3〉 ‘북방을 지키는 신’ 현무유도탄(상)’, 『세계일보』 (2010.10.18.)
‘South Korea Completes Hyunmoo-V Ballistic Missile Development’, 『Naval News』 (2023.7.18.)
주석
주1

미얀마의 독립 운동 지도자(1915~1947). 급진 정당인 타킨당의 서기장을 지내고, 일본군의 원조 아래 미얀마 독립 의용군을 조직하였으나, 뒤에 항일 운동으로 전환하였으며, 1947년에 중간 정부의 부수석이 되었다가 암살당하였다. 우리말샘

주2

탄알, 포탄, 미사일 따위가 발사되어 도달할 수 있는 곳까지의 거리. 우리말샘

주3

탄도를 따라 날아가는 유도탄. 발사한 다음 얼마 동안은 로켓이 작동하여 일정한 궤도와 방향을 잡지만, 그 뒤에는 보통 포탄처럼 탄도를 그리며 날아간다. 우리말샘

주4

포탄이나 미사일 따위의 머리 부분. 용도에 따라 폭약, 뇌관, 유도 장치, 인공위성 따위를 넣을 수 있다. 우리말샘

주5

지상에서 지상으로 향함. 우리말샘

주6

적의 레이다를 피하여 초저공비행이나 우회 항행을 할 수 있는 미사일. 제트 엔진을 가지고 사전에 입력된 자료를 바탕으로 컴퓨터에 의하여 비행한다. 공중 발사 순항 미사일, 지상 발사 순항 미사일, 잠수함 발사 순항 미사일로 나눈다. 우리말샘

주7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장거리 탄도 미사일. 우리말샘

주8

기계류의 치수나 무게 따위의 성능과 특성을 나타낸 수적(數的) 지표. 우리말샘

주9

한쪽이 공격하려고 하여도 상대편의 반격이 두려워서 공격하지 못하도록 하는 힘. 우리말샘

주10

‘방위 산업’을 줄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