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증사학(實證史學)
사실에 있어서 이 두 가지 점은 한국 역사학이 근대 역사학으로 거듭나는데 전제가 되었던 것이다. 이 점에서 실증사학은 역사연구에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학의 발전에 끼친 기여가 지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실증사학의 반성과 전망」(이장우, 『한국사 시민강좌』, 1996) - 「한국사연구에 있어서의 사료와 실증」(이성무, 『한국사연구』 91, 1995) - 「실증사학론」(홍승기, 『현대 한국사학과 사관』, 일주각, 1991) - 「우리나라 근대역사학의 발달 2-1930·1940년대의 실증주의 사학-」(김용섭, 『문학과 지성』 1972년 가을호) - 「사회경제사학과 실증사학의 문제」(이기백, 『문학과 지성』, 1971년 봄호 : 민족과 역사 신판 중판, 일주각,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