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양정 ()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작품
문화재
이해조(李海朝)가 지은 신소설.
시도문화재자료
연계번호
3413200010000
지정기관
강원도
명칭
소양정
원어
昭陽亭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제1호
지정일
1984년 06월 02일
소재지
강원 춘천시 소양로1가 산1-1번지
경도
127.732581125119
위도
37.8929214170323
웹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3413200010000
해제여부
N
목차
정의
이해조(李海朝)가 지은 신소설.
내용

이해조(李海朝)가 지은 신소설. 1911년 9월 30일부터 12월 17일까지 65회에 걸쳐 이해조의 아호인 동농(東儂) 작으로 ≪매일신보 每日申報≫에 연재되었다. 단행본으로는 초판이 1912년 7월 20일신구서림(新丘書林)에서 우산거사(牛山居士)라는 필명으로 발행한 뒤, 1921년 11월 15일 제6판까지 나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선 중기에 강원도 낭천(狼川)에 정세중(鄭世重)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늦게 낭천 군수가 되었다가 그 고을에 눌러 살게 되었다. 슬하에 혈육이 없다가 부인 조씨가 늦게 잉태하여 여아를 순산하여 채란이라 이름하였다.

딸이 혼기가 차서 사윗감을 고르던 중 마침 회양 군수가 되어 내려오던 옛 친구인 오 승지를 만나 그의 아들 봉조와 정혼을 시키게 된다.

오 승지가 임지에 도착하여 문권을 정리하는데, 문부(文簿)를 농간하여 부정축재를 일삼던 이방 최영세가 자신의 죄상이 드러날까 우려하여 승지를 독살하게 된다. 승지의 부인도 남편의 급사함을 애통해하던 끝에 절명하고 봉조는 일시에 고아가 되었다.

봉조는 성혼 전에 정씨가에 의탁하고 있었는데 정공마저 병사하고 이에 조씨가 다른 좋은 곳을 찾아 딸을 출가시키려고 그를 학대한다.

조씨의 친정 동생 조학균은 누이의 재산을 탐내어 감언이설로 꾀어 봉조를 독살하려고까지 한다. 급기야 봉조는 그 집을 탈출하게 되고 이를 안 정 소저 또한 시비 금단과 함께 남장을 하고 그를 찾아 가출한다.

도중에서 되돌아오려던 봉조를 만나 세 사람은 다시 정처 없이 가다가 우연히 오 승지의 옛 친구 신 생원댁에 이르러 잠시 의탁하게 되었다.

정 소저가 여자임을 안 신 생원은 꾀를 내어 봉조를 관찰사에게 천거한다고 하면서 실은 강도범이라고 무고하니, 관찰사는 편지 사연만 믿고 봉조를 흉악범으로 단정한다.

정 소저는 신 생원의 모략을 알고 남복으로 춘천부중(春川府中)에 다다라 승문고(升聞鼓)를 울려 신원서를 바치나 용납되지 않자 소양강 정자에 올라 한탄하고 강에 투신하여 죽으려 한다.

마침 순시하던 박 어사의 도움으로 신 생원은 교수형에 처하게 되고 누이의 재물을 탕진시키던 조학균도 처벌당한다. 봉조와 채란은 박 어사의 주선으로 혼인하고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하게 된다. 그런데 신 생원의 하인이었다가 회양 최 이방 밑에 있던 구(具)너구리가 찾아와 최 이방이 살부지수(殺父之讐)임을 알려준다.

정 부인은 구 서방과 금단을 혼인시키고, 구 서방은 어사가 된 봉조에 앞서 내려가 최 이방을 정탐한다. 암행하던 오 어사는 통천 총석정에 이르러 최 이방의 자객에게 죽을 고비를 넘기고, 최 이방이 범인이라는 증거물을 얻어 본관에게 밀서를 주어 가두고 그의 죄를 천하에 공표하여 의법 처리한다.

이 소설은 이해조의 작품 가운데에서 가장 고전소설적 요소를 많이 내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작품의 주제에서도 개화사상을 고취하기보다는 통속적 흥미를 유발하는 방향으로 서술된 것이 특징이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는 <쇼양뎡긔>라는 필사본이 있는데 ≪매일신보≫에 연재된 것을 단순히 전사한 것으로 확인된다.

참고문헌

『한국신소설전집』5(을유문화사, 1968)
『신소설전집』3(계명문화사, 1987)
「신소설 소양정고」(전광용, 『국어국문학』 10, 1954)
「개화기소설의 서지적 정리 및 조사」(하동호, 『동양학』 7, 197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