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 마애여래상은 얕은 양감으로 새겨진 높이 2.65m의 입상으로 편단우견(偏袒右肩)에 시무외인(施無畏印)과 여원인(與願印)을 결하고 있다. 마애불의 세부묘사는 마멸이 심해 잘 보이지 않지만, 윤곽선은 남아 있다. 전반적으로 사람의 인체에 가까운 사실적인 비례, 달걀 모양의 둥글고 갸름한 얼굴 윤곽, 귓불이 길게 늘어지며 바깥으로 휜 모습 등이 특징적이다. 또한, 가슴에서 허리를 지나 허벅지로 이어지는 몸의 윤곽선이 굴곡지게 표현되어 있어 인체의 감각적 재현에 적극성을 보인다. 편단우견으로 드러난 오른쪽 어깨는 넓고 탄력적이며 시무외인을 결한 것으로 보이는 오른손은 안쪽으로 들여 오른쪽 가슴 앞에서 비스듬한 각도로 정면을 향해 있다. 팔뚝의 근육묘사도 생동감이 있다. 아래로 늘어뜨린 왼손 역시 몸 안쪽으로 넣었으며 왼쪽 허벅지 앞에 손바닥이 있는데, 마모가 심해 수인(手印)은 확인되지 않는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다. 상체의 양감은 그다지 강조되지 않았지만, 편단우견으로 흘러내리는 옷자락의 탄력적인 윤곽선과 ‘U’자형으로 흘러내리는 옷 주름의 미묘한 간격 변화로 옷자락 안의 인체 굴곡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무릎 이하는 땅에 묻힌 것인지 현재 절반 정도만 드러나 있다. 무릎 위로는 왼팔에 걸쳐진 옷자락이 길게 늘어져 있어 단조롭게 내려오는 옷자락에 변화를 주고 있다. 이와 함께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의 윤곽선이 남아 있는데, 두광은 두 줄의 선으로 묘사되었다.
이와 같은 편단우견의 불상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보화리의 백제 석조여래병립상, 경주 단석산의 신라시대 신선사 마애불상군과 영주 숙수사지 출토 금동불상군 등 삼국시대에 제한적으로 등장한 바 있다. 이후 편단우견의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좌상이 유행했을 때에도 불입상은 대체로 통견(通肩)이 많았고, 입상으로서 편단우견은 그 사례가 많지 않은 편이다.
장신(長身)인 신체, 잘록한 허리와 풍부한 양감, 길고 바깥으로 휘어진 귓불, 유연하게 흘러내리면서 오른쪽 옆구리를 지나 왼쪽 어깨로 올라가는 옷자락 처리, 왼손 아래로 늘어뜨려진 옷자락 등이 특징인 통일신라 시대의 마애불이다.
이 마애불 아래쪽에는 ‘베틀바위[布機岩]’라 불리는 암석이 있는데, 고려 중엽 평장사(平章事) 이공(李公)의 딸이 김상서의 아들과 혼약을 했으나 약혼자가 결혼 전에 죽자 이곳에 들어와 홀로 수절하며 베를 짰다고 하는 전설이 전한다. 수절한 그녀는 이 마애불 앞에 절을 세우고 불공을 드리며 남은 생애를 보냈다고 한다.
감리 마애여래상은 당시 불교 문화의 중심지였던 경주에 버금가거나 그 이상이라 할 수 있는 작품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