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해비리국 ()

목차
고대사
지명
삼한시대 마한의 소국.
목차
정의
삼한시대 마한의 소국.
내용

마한 54소국 중의 하나이다. 3세기 후엽에 저술된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조(韓條)에 열거된 여러 소국들의 이름의 한자표기는 우리말 이름을 당시의 중국 고대음에 따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그런데 중국의 고대 북방음은 대체로 우리의 한자음에 가까우므로 삼한 소국들의 연구에 참고가 된다.

감해비리국의 ‘비리(卑離)’는 백제지역의 옛 지명 어미인 ‘부리(夫里)’와 같은 말이다.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고부군(古阜郡)을 본시 백제의 ‘고묘부리[古眇夫里, 古沙夫里]’, 반남군(潘南郡)을 본시 백제의 ‘반나부리(半奈夫里)’라고 한 것과 같다. 신라에서는 ‘벌(伐)’·‘불(佛)’·‘불[火]’ 등으로 표기되었는데, 모두 평야라는 뜻에서부터 ‘읍락(邑落)’·‘나라’ 등의 뜻으로까지 발전하였다.

한전의 마한 소국 중에 ‘비리’가 붙은 나라는 내비리국(內卑離國)·벽비리국(辟卑離國)·모로비리국(牟盧卑離國)·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초산도비리국(楚山塗卑離國) 등 많은 예를 볼 수 있다. 즉 ‘비리’는 ‘나라’라는 보통명사이다. ‘감해’의 ‘감(監)’은 중국의 고대음이 ‘kam’, 북경음은 ‘kiem’이다. ‘해(奚)’는 중국 고대음이 ‘○iei(계)’, 북경음은 ‘hi’이다.

위치는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의 옛 이름을 〈청구도 靑丘圖〉에서 ‘대감개면(大甘介面)’이라 했으므로, ‘감해’를 ‘감개(甘介)’에 비정한다.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이다. ‘감해(監奚)’는 ‘감계’로 발음되기 때문에 같은 마한의 소국인 ‘감해국(感奚國)’과도 중국 고대음이 같다.

고대에는 어휘가 부족해 같은 지명·국명이 많이 보이며, 마한에서도 비슷한 이름의 소국이 많다. 마한연맹체의 일원으로서 맹주국과 여러 형태의 결속관계를 가지면서도 토착적인 세력기반을 그대로 유지한 채 3세기쯤까지 독자적인 성장을 지속하다가 백제에 복속되었다. → 마한

참고문헌

『삼국사기』
『신증동국여지승람』
『삼국지(三國志)』
「청구도」(김정호)
『한국사』-고대편-(이병도, 진단학회 편, 을유문화사, 1970)
『삼한사회형성과정연구』(이현혜, 일조각, 1984)
Analytic Dictionary of Chinese and Sino-Japanese(Karlgren K.B.J., 1923)
집필자
김정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