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전경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전경
건축
유적
문화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 거돈사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석조 불탑. 보물.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 거돈사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석조 불탑. 보물.
내용

198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5.4m. 일반형의 다른 석탑과 달리, 토단을 마련하고 3단의 장대석을 가지런히 쌓아 방단(方壇)을 만든 위에 탑을 세운 점이 특이하다.

방단의 남쪽면에는 돌계단을 만들었고, 그 위에 흙을 둔덕지게 쌓아 지대석을 놓았다. 지대석은 4매의 장방형 판석을 엇물리기식으로 결구하였고, 위에 상층기단 하대석 또한 4매의 판석을 동일형식으로 쌓았으나, 지대석과는 방향이 다르다.

하층기단의 구성은 판석 사이에 장방형 판석을 끼워놓고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탱주(撑柱 : 받침기둥)를 새겼다. 하대중석(下臺中石) 또한 4매로서 각 면의 중앙부에서 접합시켰다. 그 상부 낙수면 위로는 중석받침과 1단의 탑신받침이 있다.

상층기단 중대면석(中臺面石)은 남북쪽에 양 우주가 표현되게 장면(長面)을 대고, 동서면에 탱주만 새긴 면석을 끼워맞춘 방식이다. 수평한 낙수면을 가진 상대갑석(上臺甲石) 위로는 몰딩과 각형(角形) 탑신 굄을 만들었다.

탑신부 층마다의 옥신 · 옥개석을 한 돌로 구성하고, 각 층 옥신에 양 우주를 새겼다. 옥개부의 낙수면은 두꺼우면서도 끝 부분을 살짝 반전시켰고, 옥개받침은 각 5단씩 표현되었다.

옥개석 상면에는 각형의 2단 굄으로 위층 옥신석을 받쳤고, 옥개석마다 전각부(轉角部)에 풍탁(風鐸 : 풍경)을 달았던 작은 구멍이 뚫려 있다. 상륜부(相輪部)는 현재 노반 위에 복발(覆鉢)만이 남아 있다.

전체적으로 초층탑신이 기단부에 비해 급격하게 줄어 왜소한 감을 주며, 옥개가 반전하면서도 전각을 수직이 아닌 사선으로 마무리한 점 등은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형식을 잘 보여주는 예가 된다.

그러나 탑신 자체에 별다른 장식이 없고 옥개받침이 5단인 점 등은 통일신라 초기의 석탑형식을 충실히 계승한 수작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원주지역 주요 寺址 석탑의 편년과 의의 -거돈사지, 흥법사지, 법천사지 석탑을 중심으로-」(정성권, 『한국고대사탐구』 25,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韓國의 寺址(강원도, 전라북도)』(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불교문화재연구소, 2013)
『거돈사지 3층 석탑 : 정밀실측 및 수리공사보고서』(무진종합건축사 사무소 원주시, 2001)
『('92) 居頓寺址 整備 및 遺構調査 : 略 報告書』(김정기, 原州郡, 1992)
『문화재대관』 4 보물 2 (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거돈사지 석물실측 및 지표조사보고서』(원성군, 1986.12.)
「원주의 사적-흥법·법천·거돈-」(정영호, 『고고미술』 1, 1960.8.)
집필자
최응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