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석인본. 1965년 후손 상휘(相徽) · 진재(震宰)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진재의 발문이 있다. 성암고서박물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69수, 소 6편, 유차(遺箚) 1편, 권2에 서(書) 43편, 잡저 3편, 서(序) 5편, 기(記) 2편, 발지(跋識) 4편, 상량문 2편, 고유문 2편, 제문 13편, 묘지명 2편, 묘갈명 6편, 권3에 행장 1편, 유사 3편, 권4는 부록으로 연보 · 정종목록(正終目錄) · 행장 · 묘비명 · 유사 · 고유문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한도팔경(漢都八景)」의 연작시(連作詩)를 비롯하여 서정이 강하게 투영된 「화매(畫梅)」 · 「추야(秋夜)」 · 「산거(山居)」 등과 김흥락(金興洛) · 이교영(李敎英) 등에 대한 만시 등 다양한 작품이 고루 실려 있다.
소 가운데 「사정언겸진육조소(辭正言兼陳六條疏)」는 무고를 당하여 무주에 좌천되었다가 1864년(고종 1) 사면되어 사간원정언에 임명되었을 때 올린 것으로, 국정에 대해 입지(立志) · 강학(講學) · 애민(愛民) · 용인(用人) · 숭검(崇儉) · 통변(通變) 등 6개 조항으로 대별하여 의견을 제시하였다.
「을사팔조소(乙巳八條疏)」는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이 체결되자 국정이 침탈됨을 원통히 여겨 국정의 쇄신을 촉구한 것으로, 당시의 국내사정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청참오적소(請斬五賊疏)」는 을사오적의 처벌을 상소한 것이다.
서(書)는 주로 김숙(金熽) · 이헌영(李𨯶永) · 조병호(趙秉鎬) 등과 시사(時事)에 대해 의논한 것들이다. 잡저에는 『주역』 공부의 지침서라고 할 수 있는 「학역의례(學易儀例)」와 「영해박씨족보서(寧海朴氏族譜序)」 · 「내곡지(柰谷誌)」 등이 있다. 부록인 행장 · 연보 등에는 당시의 혼미한 정국과 정계의 움직임 등에 대해 매우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