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m. 고달사지 금당지와 네모난 석조대좌(石造臺座)가 있는 곳에서 서북쪽의 대지 위에 있으며 현재 귀부와 이수만이 남아 있고, 비신(碑身)은 깨어진 채로 경복궁 근정전 회랑에 진열되어 있다.
귀두(龜頭)는 눈을 부릅떠 정면을 직시하고 있는데, 눈꼬리가 길게 치켜올라가 매우 험상궂은 모습이다. 코는 들려서 콧구멍이 깊게 표현되고 중첩된 주름이 정수리까지 이어져 있다.
일반형의 귀부와는 달리 입을 꽉 다물어 여의주를 물지 않은 형태이며, 길게 찢어진 입 가장자리에는 공룡의 깃과 같은 물갈퀴 형상이 조각되었고, 그 뒤로 갈기 같은 털이 머리 뒤까지 길게 뻗쳐 있다.
앞발은 귀갑 전면 양단에 가지런히 두었으나 마치 땅을 밀치고 나가려는 듯 격동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된 발톱은 땅을 꼭 누르고 있는 듯하다. 목은 그다지 길지 않아 머리가 귀갑에 바짝 붙은 느낌을 준다. 귀갑에는 2중의 귀갑문이 정연하게 조각되었으며, 중앙부로 가면서 한 단 높게 와운문(渦雲文)을 첨가하여 장식하였다.
비좌(碑座) 부분 역시 깊게 조각된 운문(雲文)을 장식하여 돌출시켰고, 위로 복련(覆蓮)을 정연하게 조각하였다. 비좌 위에 얹어놓은 이수의 형태는 직사각형에 가깝고 고부조(高浮彫)로 입체감을 강조하여 생동감이 넘친다. 이수 맨 아래에는 복판(複瓣)의 앙련대(仰蓮帶)를 사면에 두르고, 1단의 층급을 두었다.
전면에는 정중앙의 전액(篆額)을 중심으로 서로 뒤엉킨 반룡(蟠龍: 아직 승천하지 않고 땅에 서려 있는 용)을 구름 사이로 배치하였다. 중앙 상단부와 우측 상부가 깨어졌으나, 좌우로 각각 2마리씩 4마리의 용을 조각한 것으로 보이는데 용의 모습은 서로 조금씩 다른 형태이다. 측면부는 용의 몸이 구름에 내비친 격동적인 모습을 조각하였고, 후면 역시 2구의 용을 조각하였다.
이 귀부와 이수는 탑비에 기록된 명문에 의하여 975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귀두가 험상궂은 용두형(龍頭形)에 가깝고, 목이 짧고 정면 직시형(直視形)인 점, 이수의 표현이 격동적이며, 특히 와운문으로 번잡하게 장식한 점 등은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시대 초기로 진전되는 탑비 형식을 잘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