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형산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우찬성, 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정숙(靜叔)
시호
위열(威烈)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53년(단종 1)
사망 연도
1528년(중종 23)
본관
횡성(橫城)
주요 관직
우찬성|강원도관찰사
관련 사건
기묘사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우찬성, 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횡성(橫城). 자는 정숙(靜叔). 할아버지는 고습(高襲)이고, 아버지는 고사신(高思信)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483년(성종 1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이후 연산군 때 해주목사 · 함경북도병마절도사를 지냈다.

중종 때 강원도관찰사와 형조 · 호조 · 병조의 판서 등 요직을 차례로 역임하고 우찬성에 이르렀다. 1507년(중종 2) 함경도관찰사로 있을 때 부국강병을 위한 제도개혁을 상소한 바 있으나 정치성향은 대체로 보수적이었다.

조광조(趙光祖) 일파의 정치개혁을 반대하는 세력의 한 사람으로 현량과(賢良科)의 실시 등을 극력 반대하였으며, 1519년 남곤(南袞) 일파와 함께 기묘사화를 일으켜 신진세력을 축출하였다.

곧고 근검한 성품으로 수리(數理)에 밝아 행정능력이 뛰어났다. 뒤에 기로소에 들어갔으며, 시호는 익평(翼平)이다.

참고문헌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여지도서(輿地圖書)』
『조선전기 기호사림파 연구』(이병휴, 일조각, 1984)
『고형산의 상소문』(김원각, 전통문화 1984.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