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운구곡도 ()

목차
관련 정보
곡운구곡도/농수정/조세걸
곡운구곡도/농수정/조세걸
회화
작품
조선시대의 화가 조세걸(曺世傑)이 그린 실경산수화.
목차
정의
조선시대의 화가 조세걸(曺世傑)이 그린 실경산수화.
내용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37.5㎝, 가로 5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 그림은 1682년 무렵 김수증(金壽增)이 조세걸을 시켜 화천군 사내면 용담천 하류를 이루는 약 8㎞의 구불구불한 계곡을 그리게 한 실경산수화이다.

구곡도(九曲圖)는 원래 중국 남송 때 주희(朱熹)가 푸젠성(福建省) 무이산(武夷山)에서 흐르는 숭계(崇溪) 상류에 무이정사(武夷精舍)를 짓고 이 숭계의 아홉 구비 경치 좋은 곳을 무이구곡(武夷九曲)이라 하고 그림을 그렸던 데서 유래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주자학이 보급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깊어지자 이황(李滉)·이이(李珥) 이후 성리학자들 사이에 정사와 구곡경영(九曲經營)이 널리 유행하였다(예: 이이의 石潭精舍·石潭九曲·高山九曲歌).

김수증은 17세기 후반 노론계(老論系)의 성리학자로 1670년부터 지금의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영당동에 농수정사(籠水精舍)를 짓고 용담천 아홉 굽이에 각각 이름을 지어 곡운구곡(谷雲九曲: 傍花溪·靑玉峽·神女峽·白雲潭·鳴玉瀨·臥龍潭·明月溪·隆義淵·疊石臺)이라 하였다.

그리고 평양 출신 화가 조세걸을 시켜 이 구곡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그리게 하였다. 이 그림들은 종래의 관념적인 산수화와는 달리, 실제 경치를 그리는 데서 오는 대상의 재현이 주가 되었다.

산·바위·나무·집 등이 비교적 정확하게 묘사되었다. 화면에 ‘제1곡방화계(第一曲傍花溪)’ 등 실경의 명칭을 적고 또 위치·거리·방향·자연의 특징 등을 명기하였다.

김수증은 주자의 「무이구곡도가(武夷九曲櫂歌)」의 운(韻)을 아들·조카·사위에게 나누어 주고, 각자 한 곡에 시 한 수씩을 짓게 하여 그림과 함께 시화첩(詩畫帖)을 만들었다. 이 화첩은 1797년 후손들에 의하여 모사(模寫)되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참고문헌

『곡운집(谷雲集)』
「구곡도의 발생과 기능에 대하여」(유준영, 『고고미술』 151, 1981)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