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상청앵도 ()

목차
관련 정보
회화
작품
김홍도(金弘道)가 그린 조선 후기의 산수인물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김홍도(金弘道)가 그린 조선 후기의 산수인물화.
내용

종이바탕에 수묵담채. 세로 117㎝, 가로 52.2㎝. 간송미술관 소장. 수직으로 긴 화폭 하단 오른편에서 비스듬히 아래로 쏠리는 언덕과 길을 대각선 구도로 잡았다.

오른편 언덕에 수척한 버드나무 한 그루가 높이 서 있으면서 파릇파릇한 잎이 달린 가지를 위로 뻗고 있다. 길에는 한 선비가 동자가 이끄는 나귀를 타고 가다 문득 멈춰서 버드나무 가지 위 꾀꼬리를 유심히 바라본다.

그는 한 손에 고삐를 잡고, 한 손에는 접는 부채를 쥐고 있다. 언덕과 길은 엷은 먹으로 바탕을 칠한 다음, 초묵(焦墨)을 촘촘히 쩍어 잡초를 여기저기 벌려 놓았다. 나귀탄 선비와 종자의 모양은 아주 가는 붓끝으로 세밀하게 표현되었다.

바로 오른편에 치우친 전경을 제하고는 화폭 전체에 끝없는 빈 공간이 펼쳐진다. 화폭 왼편 위쪽에는 다음과 같은 시가 적혀있다.

“佳人花底簧千舌(꽃 아래 佳人은 천 가지 황(簧 : 악기의 일종)의 혓소리 내고),

韻士樽前柑一雙(시인의 술독 앞에는 두 알의 귤 보기도 좋네.)

歷亂金梭楊柳岸(언덕 위 버들가지 새를 어지러히)

惹烟和雨織春江(오가는 저 꾀꼬리, 안개와 비를 엮어 봄강을 짜는 구나.)

碁聲流水古松舘道人 李文郁證 단원사(기성유수고성관도인 이인문이 감상하고, 단원이 그리다.)”

이 시는 소리·색·움직임, 그리고 배경을 적절히 구사한 명시로, 시와 그림이 썩 잘 어울려 시가 먼저 있고 그림이 나왔는지, 그림이 있고 시가 나왔는지 알 수 없다. 이 작품은 여백의 맛을 잘 살리는 산수인물화의 좋은 예이며, 풍속인물의 묘사가 우리 멋을 풍기고 있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