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필 인왕제색도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조선 후기의 화가 정선(鄭敾)이 그린 산수화.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정선 필 인왕제색도(鄭敾 筆 仁王霽色圖)
분류
유물/일반회화/산수화/산수화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84년 08월 06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화가 정선(鄭敾)이 그린 산수화.
내용

1984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종이 바탕에 수묵(水墨). 세로 79.2㎝, 가로 138.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정선이 76세 때인 1751년(영조 27) 윤5월 하순, 비 온 뒤의 인왕산 경치를 지금의 효자동 방면에서 보고 그린 것이다.

특징 있게 생긴 인왕산의 바위를 원경 가득히 배치하였다. 그 아래에 안개와 수목을 그려 넣어 단순하면서도 대담한 구도를 이룬다. 그리고 수목과 가옥이 있는 전경은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점인 부감법(俯瞰法)으로 포착하였다. 원경은 멀리서 위로 쳐다보는 고원법(高遠法)으로 나타냈다. 이로써 마치 바로 앞에서 인왕산을 바라보는 듯한 현장감을 준다.

안개와 산능선은 엷게, 바위와 수목은 짙게 처리하였다. 먹색의 강렬한 흑백 대비로 굴곡진 산의 습곡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며 화면에 변화와 활력을 불어넣었다.

바위의 거대한 양감(量感)을 강조하기 위하여 구사된 적묵(積墨)의 힘찬 붓질과, 크고 작은 수목들에 가해진 편필(偏筆)의 활달한 운필, 그리고 산등성이의 성근 피마준(皮麻皴), 짧게 끊어 찍은 작은 미점(米點) 등은 정선이 서울 근교의 실경들을 사생하면서 사용했던 기법이다. 이 그림에서는 보다 능란하고 완숙된 필치를 보여 준다.

의의와 평가

비가 온 뒤 개인 인왕산의 인상적인 분위기가 특유의 기법으로 실감 나게 표현되어 있다. 정선의 회화 세계와 발군의 기량을 입증해줄 뿐 아니라, 조선 후기 실경산수화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그림 오른쪽 상단 여백에는 “인왕제색 신미윤월하완(仁王霽色 辛未閏月下浣)”이라 묵서되어 있다. 그 밑에 ‘鄭敾(정선)’이라는 백문방인(白文方印)과 ‘元伯(원백)’이라는 주문방인(朱文方印)이 찍혀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1-겸재 정선-(정양모 감수, 중앙일보사, 1983)
「조선후기의 진경산수화연구」(이태호, 『한국미술사논문집』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겸재일파의 진경산수」(이동주, 『우리나라의 옛그림』, 박영사,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