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한루악부108첩 ()

광한루악부
광한루악부
한문학
작품
1852년(철종 3) 윤달선(尹達善)이 「춘향가」를 한문으로 번안한 악부시.
이칭
이칭
광한루악부, 향랑구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852년(철종 3) 윤달선(尹達善)이 「춘향가」를 한문으로 번안한 악부시.
구성 및 형식

칠언절구, 총108수. 흔히 ‘광한루악부(廣寒樓樂府)’라고도 한다. ‘향랑구보(香娘舊譜)’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광한루악부108첩」 발문(跋文)에 나온 창작동기는 신위(申緯)의 「관극시(觀劇詩)」 몇백 수가 근세의 절창이다. 이런 시가 적은 것이 한스러워서 이 시를 「향랑가(香娘歌)」에 따라 소곡(小曲) 백팔 첩을 지은 것이다. 여기에서 「향랑가」라 함은 「춘향가」를 말한 것이다.

소곡은 절구체의 한시를 말한다. 「광한루악부108첩」의 내용은 「춘향가」의 번안이다. 주인공들의 상황이나 대화를 모두 노래로 표현하는 형식을 취하여 그것을 한시의 칠언절구로 표현하였다.

내용

「광한루악부108첩」의 제1장에서 제3장까지는 서사(序詞)의 성격으로 호남지방의 승경(勝景)과 광한루의 절승(絶勝), 이도령의 풍류를 말하였다. 제107장과 제108장은 총론이므로 호남지방의 가객에 의하여 춘향의 절개가 길이 찬양되기를 읊었다.

그 밖의 시는 거의 춘향과 이도령의 만남과 헤어짐의 노래이다. 그리고 이도령이 다시 어사로 내려와서 춘향과 재회하는 내용의 노래이다.

「광한루악부108첩」의 내용을 이해하려면 먼저 「춘향전」의 내용을 알아야 쉽다. 윤달선은 주인공들의 심정을 여실히 이해하고 그것을 한 수 한 수의 시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광한루악부108첩」은 서술체로 쓴 소설적인 표현보다도 더 핍진한 면이 있다. 작품 중간에 「농부창(農夫唱)」 5장을 넣은 것은 한 편의 작품을 노래로 분류하고 표현한다는 작가의 의도를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광한루악부108첩」의 특징은 일반적인 악부들의 수록작품이 각기 다른 내용의 시들로 이루어지는 것과는 다르게 한 수 한 수의 시가 그 자체로서 훌륭한 서정성을 지니면서 108수의 전편이 한 사건으로 이어지는 서사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있다.

참고문헌

『퇴경당전서(退耕堂全書)』 7(권상로, 퇴경선생기념사업회, 1989)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