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계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안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0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안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940년에 그의 후손인 종익(鍾益)·종후(鍾厚)·정로(楨魯)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박문식(朴文植)의 서문과 홍정섭(洪政燮), 10세손 정표(楨表)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61수, 권2에 부(賦) 2편, 문(文) 2편, 잡저 4편, 권3은 부록으로 정장(呈狀)·유사·행장·묘갈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서정이 강하게 깔린 「영설(詠雪)」·「사구(沙鷗)」·「관해(觀海)」 등을 비롯해 현실의 모순을 주제로 읊은 「우변(憂邊)」·「우국(憂國)」·「산성환상필이동일징수고개음(山城還上必以冬日徵收故慨吟)」 등과 교훈적 성격을 띤 「훈자(訓子)」·「계주(戒酒)」·「성학구영(聖學九詠)」·「흠정속편(欽正俗篇)」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작품이 고루 실려 있다.

문의 「권학문(勸學文)」은 학문의 진리와 가치를 언급하면서 학문을 권장한 글로, 교육진흥을 이해하는 데 참고자료가 된다.

잡저의 「청풍이후전(淸風李侯傳)」은 목민관으로서 선정을 베푼 이진(李縝)의 열전(列傳)이다. 「서효행록후(書孝行錄後)」에는 권근(權近)이 편집한 『효행록』을 읽고 자신의 소감을 쓴 것인데, 62인의 효행 사적이 각기 다르나 그 정성은 모두 한결같다고 평가하였다.

이밖에 그의 큰아들 효기(孝基)가 그의 생시에 아버지의 효행을 부사(府使)에게 알리는 내용인 「정영장(呈營狀)」이 있다.

집필자
김동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