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두점 ()

목차
언어·문자
개념
문장의 논리적 관계를 밝혀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표기상의 부호. 문장부호.
이칭
이칭
문장부호
목차
정의
문장의 논리적 관계를 밝혀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표기상의 부호. 문장부호.
내용

이 부호에 관한 규칙을 구두법이라고 한다. 글에서 뜻이 끊어지는 곳을 구(句)라 하고, 구 가운데서 읽기 편하게 끊는 곳을 두(讀)라 하며, 이 둘을 합쳐 ‘구두’라 한다.

그리고 구두점을 찍는 방법은 구점(句點)을 문장의 옆에, 두점(讀點)을 문장의 중간에 찍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두점(‘.’표)을 찍은 문헌으로는 세종 때 간행된 ≪훈민정음≫(1446)·≪용비어천가≫(1447) 등이 있다.

이들 문헌에서 한자 귀퉁이에 찍은 것은 잘못 읽는 것을 막기 위한 사성표시(平聲―〭□, 上聲―〬□, 去聲―□〫, 入聲―□。)로서 이를 권점(圈點)이라고도 한다.

국문에 쓰인 구두점은 ≪용비어천가≫가 처음이나, 그 뒤 ≪지장경언해≫(1765)·≪염불보권문≫(1776)·≪음역금강경≫(1796)·≪아미타경언해≫(1871) 등의 언해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개 휴지(休止)를 위한 띄어쓰기의 표시로 사용되는 경향이었다.

그것도 극히 한정된 문헌에서만 쓰이다가, 개화기에 들어와 ≪종묘세고문≫(1894)·≪독립신문≫(1896) 논설, ≪국문정리 國文正理≫(1897) 등에서와 같이 띄어쓰기의 표시로 쓰였다.

구점(.)과 두점(、)을 형태상으로 구별하여 사용한 것은 1910년 이후였으며, 영어문법을 통하여 들어온 서양의 구두점이 국어문법에 적용되면서 종류가 많아지고 체계가 서게 되었다.

윤치호(尹致昊)의 ≪영어문법첩경≫(1911)에는 구점(,)·결점(.)·중점(:)·반중점(;)·문점(?)·감탄점(!)·인용점(“ ”)·연획(―)으로 분류하여 설명했으며, 이상춘(李常春)의 ≪조선어문법≫(1924)에서는 사점(、)·종지점(.)·의문표(?)·감탄표(!)·인용표(『 』)·소인용표(「 」)·괄호(( ))·종선(|)·쌍종선(∥)·점선(⋮)·권점(〬□)·편괄호( ) )·사선(/)을 열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을 더욱 자세하게 체계를 세우고 종합적으로 명시한 것은 1933년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이다. 여기에서는 ‘문장에 쓰이는 중요한 부호’라 하여 17종을 처음으로 규정하였지만, 그 명칭은 붙이지 않았다.

다시 1940년 개정 때에는 확장한 총 39종에 대하여 문장에서 쓰는 명칭과 인쇄상의 명칭도 붙이고, 기타 43종의 부호를 덧붙였다.

현재의 구두점은 쓰이는 위치에 따라 문장 끝의 구점과, 문장 안의 두점으로 나뉘고, 넓은 의미의 두점은 부가점(附加點)·대용점(代用點)·부각점(浮刻點)으로 구분된다. 그 종류는 [표]와 같다.

[표]구두점 일람표

일반부호 〉

(1) 구점

문장상의 명 칭 횡서 출판상의 명 칭 종서 출판상의 명 칭
마침표 온점 고리점
물음표 물음표 같음 같음
느낌표 ! 느낌표 같음 같음

(2) 두점

쉬는표 , 꽁지점 $ 모 점
머무름표 ; 포 갤꽁지점 $ 쌍모점
그침표 : 포갤점 ¨ 쌍 점

(3) 부가점

동 위 표 (/) 중간점 (빗근줄) 같음 같 음
붙 임 표 - 외 줄 붙임표 쌍 줄 붙임표
따 옴 표 “ ” 게발톱점 『』 겹낫표
작은따옴표 ‘ ’ 새발톱점 「」 낫 표
묶 음 표 ( ) 손톱묶음 같음 같음
〔 〕 꺾쇠묶음 같음 같음
{ } 활짱묶음 같음 같 음

(4) 대용점

말바꿈표 - 줄 표 같음 같음
풀 이 표 -- 맞 줄 표 같음 같음
동 안 표 -(∼) 줄 표 (물결표) 같음 같음
방 향 표 화살표 같음 같음
줄 임 표 종종이 같음 같음
말없음표 점 줄 같음 같음
빠 짐 표 × 가 새 표 같음 같음
숨 김 표 ○○ 공 공 같음 같음
가지런표 꼬불쌍점 같음 같음

(5) 부각점

홀이름표 $ 밑 줄 $ 왼덧줄
드러냄표 동그라미 $ 같 음
$ 검 정 동그라미 $ 같 음
각 설 표 § 갈구리표 큰동그라미

특수부호

(1) 사전용

긴소리표 $ 머 릿 줄 $ 왼덧점
떼 냄 표 - 반 토 막 같음 같 음
도로씀표 온 토 막 같음 같 음
묶 음 표 $ 겹 손 톱 묶 음 같음 같 음
큰 말 표 가랑이표 같음 같 음
작은말표 거 꿀 가랑이표 같음 같 음

(2) 필기용

자거듭표 $ 가 로 겹 자 음 $ 세 로 겹 자 점
말거듭표 개미허리
지 움 표 꺾 자
거침표 치칠꺾자 같음 같 음
끼움표 가 로 끼 움 표 세 로 끼 움 표

자료 : 한글맞춤법통일안 새판(1940.10.)기준.

참고문헌

「구독법의 심리학적고찰」(이인모, 『이론과 실천문체론』, 동화문화사, 1960)
「세종대의 한자사성표기법」(정연찬, 『국어국문학』 49·50, 1970)
집필자
김민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