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중상인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 중고기 지방의 토착지배층.
목차
정의
신라 중고기 지방의 토착지배층.
내용

551년에 건립된 「명활산성작성비(明活山城作成碑)」와 591년에 건립된 「남산신성비 南山新城碑」 제2비에 기록되어 있다.「남산신성비」 제2비에 두 사람이 보이는데, 이들은 각각 외위(外位) 제4등급인 귀간(貴干)과 제5등급 찬간(撰干) 보유하고 있다.

이들을 종래에는 촌단위의 대표자로 보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군 단위의 대표자로 보고 있다. 이들은 군을 구성하는 여러 촌 중에서 제1촌과 제2촌을 대표하는 자로서, 한편으로 군단위를 공동으로 대표하기도 했던 토착지배층이었다. 「명활산성작성비」에서는 한 사람만 나와 있는데, 이는 제1촌을 대표하는 자로 보인다.

‘군중(郡中)’의 ‘중(中)’에 대해서는 군의 등급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려는 견해와 별다른 의미가 없는 개사(介飼)로 보려는 견해가 있는데, 후자의 견해가 유력하다. ‘상인(上人)’은 그 용례가 「남산신성비」 제2비에서 ‘작상인(作上人)’으로, 제5비에서 ‘성촉상인(城促上人)’으로, 그리고 「명활산성작성비」에는 ‘상인나두(上人邏頭)’ 등으로 쓰이고 있어, 어느 집단을 대표하는 ‘윗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군중상인이란 ‘군을 대표하는 윗사람’인 셈이 되어, 「남산신성비」 제1비에 나오는 ‘군상촌주(郡上村主)’ 및 제9비에 나오는 ‘군상인(郡上人)’과 성격이 같다고 할 수 있다. 군상촌주의 직임은 중앙에서 파견된 나두(邏頭) 혹은 도사(道使)의 지휘감독하에 축성 등의 군·촌 단위의 행정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데에 있었다.

참고문헌

「남산신성비(南山新城碑)」
「명활산성작성비의 역역동원체제와 촌락」(주보돈, 『조항래교수화갑기념한국사논총』, 1992)
「신라 중고기의 촌제와 지방사회 구조」(김재홍, 『한국사연구』72, 1991)
「신라의 군사와 촌사」(주보돈, 『한국고대사연구』1, 1988)
「신라 중고기 군의 형태와 성(촌)」(이수훈, 『고대연구』1, 1988)
「신라 중고기 주제의 형성과 운영」(강봉룡, 『한국사론』16, 서울대학교국사학과, 1987)
「금석문으로 본 신라 중고의 지방관제」(김창호, 『역사교육논집』6, 1984)
「신라의 촌과 촌주」(이우태, 『한국사론』7,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1)
「남산신성비를 통하여 본 신라의 지방통치체제」(이종욱, 『역사학보』64, 1974)
「남산신성비의 종합적 고찰」(진홍섭, 『역사학보』26, 196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