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사 석수 ( )

목차
관련 정보
김제 귀신사 석수 우측면
김제 귀신사 석수 우측면
조각
유적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에 있는 고려시대 귀신사의 삼층석탑 관련 돌상. 석사자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귀신사석수(歸信寺石獸)
분류
유물/기타종교조각/민간신앙조각/석조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4년 09월 27일 지정)
소재지
전북 김제시 금산면 청도6길 40 (청도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에 있는 고려시대 귀신사의 삼층석탑 관련 돌상. 석사자상.
내용

김제 귀신사의 삼층석탑 앞에 놓인 석사자상으로 등 위에는 대나무 마디 모양이 조각된 돌기둥이 있다. 불교 조각사에서 석조 동물, 특히 사자상의 전통은 일찍이 분황사 모전석탑 주변의 석사자나 불국사 다보탑에 봉안된 석사자, 혹은 법주사 쌍사자석등이나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등에서 볼 수 있어 주로 탑이나 석등과 연관된 조형물이었음을 짐작게 한다. 귀신사 석사자 역시 석탑 앞에 봉안되어 있는데 그 앞에 있던 석등을 받치던 역할을 했던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비록 대나무형 돌기둥 위의 구조물은 사라졌지만, 사자상 자체의 조각기법은 매우 뛰어나다. 특히 완전히 배를 땅에 대고 앉아있는 모습은 실제 사자가 편하게 쉬고 있는 모습과 유사한데, 이러한 사실적 표현은 다른 유물에서는 볼 수 없다. 발톱과 다리 근육도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입을 약간 벌리고 앞을 주시하는 모습은 마치 충직한 동물이 주인의 명령을 기다리는 듯 해학적이면서도 친근감이 든다. 마모가 심해 세부 묘사 파악에 제한이 있지만, 그 규모나 조각기법상 상당한 공력이 들어간 귀신사의 중요 석물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의의와 평가

사실적 묘사가 돋보이는 귀신사 석사자상은 사자상의 전개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성을 갖는 작품이다. 이 사자상처럼 땅에 배를 대고 누워있는 형태의 유물로는 고려시대에 제작된 고달사지 쌍사자석등과 조선 초기 유물인 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융탑 앞의 사자석등을 들 수 있는데, 귀신사 사자상에 비해 형태가 추상적이고 해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사자상은 조선시대에 들어와 점차 해태나 해치로 대체되어 사라진다.

참고문헌

『김제의 전통』(김제군, 198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주수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