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의생활
물품
왕이 면복(冕服)이나 원유관포(遠遊冠袍)를 입을 때 쥐는 서옥(瑞玉).
목차
정의
왕이 면복(冕服)이나 원유관포(遠遊冠袍)를 입을 때 쥐는 서옥(瑞玉).
내용

위가 뾰족하고 아래가 사각인 옥으로, 제후를 봉하는 신인(信印)으로 제사나 조빙(朝聘) 때 든다. 면복·원유관포는 중국에서 온 것으로 규도 중국제이다.

애초의 뜻은 제후로 봉해질 때 천자로부터 받는 것이다. 흙토(土)자를 둘 겹친 것은 천자로부터 받은 땅을 재고 다스린다는 뜻이다.

고려시대에도 면복과 더불어 규를 받았지만 고려 초의 제도는 알 수 없고, 공민왕 때 명나라로부터 받은 규는 그 길이가 아홉치[寸]였다.

조선시대에도 태종 이후 수차에 걸쳐 명나라로부터 같은 것이 보내져 그 제도가 ≪국조오례의서례 國朝五禮儀序例≫ 길례(吉禮) 제복도설(祭服圖說)에 실려 있다. 그런데 면복은 명나라의 친왕복(親王服)과 같은 것이었고 규는 명나라의 군왕복(郡王服)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대한제국 때 고종이 황제위에 오르자 면복과 규는 명나라의 황제와 같이 12류면, 12장복, 1척2촌인 백옥규를 사용하였다. 이 때의 규는 진규로서 위 끝이 뾰족하고 겉에는 산형(山形) 4개를 조각하였으며 밑을 황기(黃綺)로 묶었다.

참고문헌

『증보한국복식사연구』(김동욱, 아세아문화사, 1979)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집필자
김동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